제2장 개신교의 제(諸)영성 이론들

이경섭 목사
이경섭 목사
본격적인 기독교 영성을 말하기 전에, 먼저 개신교 진영에서 회자되는 몇 가지 영성 이론들(spirituality theories)에 대한 견해를 서술하고자 합니다.

1. 영성을 윤리적 차원에서 접근함

중세 수도원 운동이나 17, 8세기 경건주의 운동(the pietism movement)이 그랬듯, 오늘의 영성 운동(spirituality movement) 역시 교회의 세속화, 타락에 대한 자성이 그 한 원인이며, 이러한 자성이 영성을 윤리적 차원으로 모는 경향을 낳았습니다(그러나 영성은 지엽적인 윤리의 문제가 아니라 전 삶의 문제입니다).

영성을 윤리적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또 하나의 원인은 철학적인 영향입니다. '철학함(philosophieren)'이 곧 '영성 훈련(the spirituality discipline) '이었던 고대 시대. 그리고 후에 ‘철학’이 ‘윤리학’으로 축소되고, 중세에 이르러선 ‘철학’이 ‘신학의 방법론’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철학적 영성 개념’이 기독교에 투영되면서 기독교의 ‘신비주의화’, ‘윤리화’ 경향이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오늘도 여전히 기독교 영성에 영향을 미쳐, 일부에선 기독교 하면 곧 신비종교 혹은 윤리 종교와 동일시합니다.

2. 영성을 인격과 동일시 함

이 견해는 특히 ‘그리스도 모방(the imitation of Christ)’과 맞물릴 때, 상당히 설득력 있어 보입니다. 곧 영성을 인격(personality)과 연관지어, 영성의 목표를 ‘완전한 인격자가 되는 것’ 곧 ‘그리스도화(化)’로 봅니다.

우리가 이러한 ‘영성의 인격화’(영성의 인격주의)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것은 비단 4세기 '3위1체' 논쟁에서, 라틴 신학자들에 의해 개념화 된, '배역' 혹은 '역할'로 지칭되는 인격(persona)의 '가면''(假面) 개념에 대한 거부감 때문만은 아닙니다.

물론 후에 '인격(personality)'이 성격, 도덕성, 상호관계성 등이 조화롭게 잘 통합된 ‘개인(individual)’의 의미로 발전하기는 했지만, 인격은 항상 자연적이고(natural) 독립적이고(independent) 자아 의존적(self- dependent)인 의미를 풍겨 내므로, 영적이고(spiritual) 하나님 기원적이고(originated from God) 그리스도 의존적인(dependent on christ) ‘기독교 영성’ 개념을 대체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또 이와는 정반대로, ‘영성’을 순수하게 신적인(Divine) 영역으로, ‘인격’을 순수하게 인간적인(humane) 것으로 한정하는 이원론적 구도로 놓아, 인격을 영성 밖의 어떤 것으로 규정하므로 영성의 포괄적 개념을 부정하는 것 역시 반대합니다.

3. 영성을 형성의 개념으로 접근함

이 견해는 두 가지 뿌리를 갖고 있는 듯합니다. 하나는 악을 단지 선의 결여 현상으로 보는 신플라톤적인 어거스틴사상(Neoplatonic Augustinism)에서 기원합니다.

"악은 하나님과 관계없이 있는 적극적인 원리가 아니다. 이것은 그것 자체의 권리를 가지고 존재하는 실물들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선의 부재 또는 결핍이다"(Tony Lane, Christian Thought).

이는 ‘어두움’을 어떤 실체가 아닌 ‘빛의 결여 현상’으로 보므로, 빛이 채워지면 어두움은 물러갈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제하에, 영성을 '형성(formation)' 차원으로 접근합니다. 따라서 영성의 일차적 관심을 ‘버림과 포기’ 보다는 '형성과 채움'에 둡니다.

이 견해는 ‘악(evil)’을 ‘비존재(nonexistence)’와 동일시하고, ‘악’을 ‘존재하는 것의 부정이나 한계’로 보므로 죄의 실체와 적극성을 훼손시키며, 나아가 죄에 대한 적극적 대항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죄에 대한 민감성과 회개 촉구는 ‘기독교 영성’의 핵심 중 하나인데, 죄에 대한 이런 소극적 인식은 필연적으로 회개의 필요를 약화시킵니다. 성경은 악을 소극적인 선의 부재만이 아닌, ‘하나님께 대한 의도적인 도발’로 보며, 그러한 악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항할 것을 주문합니다(히 12:4). 성경적 영성은 '형성(formation)' 못지않게 '파괴(fracture)'에도 동일하게 관심을 가집니다.

둘째는 인간에 대한 긍정 일변도의 편향된 시각 때문입니다. 이는 중세의 지나치게 부정적인 인간관에 대항한 16세기 인문주의(humanism) 인간관 곧, 인간을 하나님 형상을 닮은 신적이고 창조적인 존재로 보는 긍정적인 인간관으로, 영성의 지향점을 부정적인 ‘버림과 부인(否認)’ 대신 긍정적인 ‘형성과 채움’의 관점으로 봅니다.

16세기 인문주의가 인간 이해에 숨통을 열어준 것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긍정 일변도의 인간관’ 역시 위험합니다. 균형 잡힌 개혁주의 신학은 인간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다 수용하며, ‘버림과 채움’ 둘 모두에 관심을 갖습니다.

개혁주의 변증학자 코넬리우스 반틸은(Cornelius Van Til) 진정한 기독교는 건설하기 전에 먼저 파괴하는 일에 관심을 가진다고 했습니다(Berkhof & Vantil, Found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오늘 교회가 파괴보다는 건설을 부정보다는 긍정을 말하는데 익숙함은 16세기 인문주의와 현대심리학의 결탁의 산물입니다.

4. 영성을 그리스도 모방과 동일시 함

예수 그리스도를 닮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궁극적인 목표가 분명합니다. 그는 이 일을 평생의 과업으로 알고 진력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이 있습니다. 곧, 그리스도의 완전한 삶을 모방하려다가 간과하고, 놓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한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방적인 그리스도 모방에 대한 강조가 죄관(罪觀)을 약화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일견, ‘예수님 모방’과 ‘죄의식의 약화’는 서로 무관해 보입니다만, 예수 그리스도를 ‘죄의 구속자’로서가 아닌, 다만 ‘모방의 대상’으로만 삼을 때, 자신의 죄인 됨을 망각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20세기 청교도적 목사 아더 핑크(A. W Pink)가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을 예수와 동일시하려는 것의 위험을 경고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대부분의 주의 백성들의 큰 실수 중 하나는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 만 발견되는 것을 그들 자신에게서 발견하려고 하는 기대이다(Practical Christianity).”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 역시 ”예수님을 닮는 것을 '이상'(理想)으로 삼는 것은 좋지만, 우리 같은 죄인들이 동일시 할 모델로 삼기는 우리와 너무 거리가 있다(The Intellectual Coherence of Evangelcalism)“고 했습니다.

차라리 우리는 같은 성정을 가진(약 5:17), ‘선지자와 사도들’을 위시해 ‘성경의 신앙인들’을 모델로 삼아 그들의 장점은 본받고, 그들의 실수와 허물은 경고로 삼는 것이 더 안전해 보입니다. 할렐루야!

이경섭 목사(인천반석교회, 개혁신학포럼 대표)

* 이 글은 이경섭 목사가 쓴 ‘개혁주의 영성체험(도서출판 예루살렘, 2005년)’ 중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이 목사의 저·역서는 <이신칭의, 값싼 은혜가 아닙니다(CLC)>,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CLC)>, <개혁주의 영성체험(도서출판 예루살렘)>, <현대 칭의론 논쟁(CLC, 공저)>, <개혁주의 교육학(CLC)>, <신학의 역사(CLC)>, <기독교신학 묵상집(CLC, 근간)> 등이 있습니다. 개인 블로그(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byterian)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경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