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적인 신학에 의하면 구원이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듣고 받아들임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원을 위한 길은 오직 그리스도 한 분으로 제한되었다. 성령에 관한 이해는 주로 성자의 사역 즉 구원사역과 연관하여 설명되어졌다. 즉 성령은 그리스도께서 이루어놓으신 구원의 사역을 구체적으로 이루어 가시는 분으로 이해되어지면서.. 새로운 성령이해가 선교에 미칠 수 있는 영향(3)
새로운 성령이해는 일정 부분 기여점을 지닌다. 그러나 약점 또한 지니고 있는데, 가장 심각한 약점 가운데 하나는 성령에 대한 관심의 약화를 불러올 수 있는 가능성이라 하겠다. 전통적인 성령 이해에서도 이런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개혁주의 교회 안에서도 성령에 대한 관심은 매우 미약했었다.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책 속에는 성령론에 대해 언급들이 거의 없었고, 있다 해도 성령론은 구원론의 보조.. 새로운 성령이해가 선교에 미칠 수 있는 영향(2)
새로운 성령 이해인 에큐메니칼 진영에서 말하는 성령은 개인의 샬롬을 넘어서서 온 인류와 우주의 샬롬 구현을 위해 활동하시며 사람들을 그 사역에 참여시키시는 영이시다. 이러한 이해는 전통적인 성령 이해의 폭을 넓혀주며 교회들이 이러한 샬롬 구현의 사역에 참여토록 도전하는데 강점을 지니고 있다. WCC는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샬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령께서 이 일에 우리를 부르신다는 사실을 강.. 새로운 성령이해가 선교에 미칠 수 있는 영향(1)
새로운 성령이해인 에큐메니칼 성령이해는 기여점과 한계점을 함께 지니고 있다.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여점은 전통적인 성령 이해의 시야를 일정 부분 확대시킨 것이라 하겠다. 전통적인 성령 이해는 개인이나 교회에게 주로 초점이 맞추어진 이해였다... 새로운 성령 이해의 주된 특징(4)
전통적이 성령 이해 특별히 오순절주의에서 이해하는 성령은 주로 초자연적인 능력을 주시는 분이시다. 인간의 한계를 벗어나는 초월적이고 초자연적인 능력을 베푸시는 영으로 이해되었다. 성령은 우리 삶 속에서 열매를 맺게 하실 뿐 아니라, 각가지의 자연적 초자연적 은사를 주셔서 성도들이 능력 있게 사역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시는 분이시다... 새로운 성령 이해의 주된 특징(3)
전통적인 성령 이해는 주로 그리스도인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으로 이해되었다. 타종교인 가운데 역사하시는 성령의 역사는 주로 저들의 마음을 여시어 복음을 받아들이도록 하시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전통적인 성령 이해에도 타종교인 혹은 불신자들 가운데서도 역사하는 성령 이해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언급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복음화보다 ‘해방’ 목표로 하는 ‘하나님의 선교’, 전도 약화시켜”
지구촌선교연구원(원장 안승오 교수)·중동성서신학원(원장 김병호 목사)이 5일 오후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 ‘기독교 적대세력과 선교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2025 선교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미션교회·반석교회·온누리교회가 후원했으며, 유튜브를 통해서도 생중계 됐다... 새로운 성령 이해의 주된 특징(2)
전통적인 성령 이해는 주로 구원의 여정과 깊은 연관을 지닌다. 성령은 죄인 된 인간의 마음에 빛을 비추셔서 말씀을 받아들여 거듭나게 하시고, 거듭난 심령에게 초자연적인 성령의 은사를 주시어 사명을 능력 있게 감당케 하시고, 갖가지 성령의 열매를 맺게 하여 성화하게 하시는 분으로 이해된다... 새로운 성령 이해의 주된 특징(1)
새로운 성령 이해 즉 에큐메니칼 성령이해의 첫 번째 특징은 성령을 세상과 구조 변혁에 깊은 관심을 두는 영으로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에큐메니칼에서 이해하는 성령은 세상에 깊은 관심을 가지는 분이시다. 전통적인 성령이해가 ’교회‘와 깊은 관련성을 지닌 것에 반하여 에큐메니칼의 성령이해는 세상에 깊은 관심을 갖는다는 것이다. 오순절주의의 성령이해는 주로 방언, 예언, 신유, 기적과 .. 새로운 성령이해의 탄생 배경(4)
새로운 선교 과제를 제시한 에큐메니칼 신학은 화해와 일치를 중요한 과제로 삼고 출발하였다. 즉 ‘에큐메니칼’ 이란 말의 어원인 ‘오이쿠메네’ 라는 말이 본래 oikeo (오이케오: 살다, 거주하다) 혹은 oikos (오이코스: 집) 등의 뜻을 지닌 말인데, 현대적 의미로 교회 간의 관계와 일치, 기독교 일치 등을 의미한다. 즉 에큐메니칼 신학의 모토 자체가 전 세계를 하나의 집으로 보고 그 .. 새로운 성령 이해의 탄생 배경(3)
성령은 구원을 이루어가시는 영이다. 그런데 전통적인 구원 이해는 다분히 영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이해였다고 할 수 있다. 즉 좀 쉽게 표현하자면 예수를 구주로 영접하고 거듭나 하나님의 자녀가 되고 천국 백성이 되는 것을 구원이라고 이해하였다. 물론 여기에 다른 차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구원을 얻은 후 구원 얻은 자로서의 삶이 포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구원은 우선적으로 하나님과의.. 새로운 성령 이해의 탄생 배경(2)
새로운 성령 이해는 WCC를 중심으로 제기된 새로운 선교 목표인 ’인간화‘와 깊은 연관성을 지닌다. WCC에서 주장하는 선교의 주된 관심은 ‘세상 속에서의 샬롬의 구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샬롬이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 중의 하나가 ‘인간화’라는 표현일 것이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