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
    파나마 대통령 "운하 통제권, 협상 불가"
    30일(현지 시간) 알자지라와 ABC방송에 따르면, 물리노 대통령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운하 통제권을 미국에 반환하는 것과 관련한 협상 절차를 시작할 수도 없다"며 "이 문제는 이미 결정된 사항이며, 운하는 파나마의 것"이라고 강조했다...
  •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이길 준비가 되어 있고, 사실 이겼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트럼프 "멕시코·캐나다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유지"
    액시오스와 더힐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 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가 2월 1일(토요일)에 시작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행정부, 연방 재정 지원 전면 중단 지시
    미국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이 연방 정부의 보조금과 대출 지급을 전면 중단하도록 지시하며 전방위적인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연방 지출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로, 28일(현지 시간) 워싱..
  • 트럼프 시진핑
    트럼프 대통령, 중국에 10% 관세 부과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부터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펜타닐 유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의 일환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에서 유입되는 펜타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 관세 부과를 고려하고 있다”며, 관세 부과 시점으로 2월 1일을 거론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트럼프 취임 첫날 46건 행정명령 서명… 역대 최다 기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부터 전례 없는 규모의 행정명령을 발동하며 강력한 정책 전환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 총 46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는데, 이는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많은 수치다. 비교해보면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9건,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0건이었으며, 트럼프 자신도 1기 임기 첫날에는 단 1..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한국, 트럼프 재집권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
    영국 가디언이 14일(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ECFR이 24개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승리가 자국에 좋은 일인가, 나쁜 일인가?"라는 질문에 한국 응답자의 67%가 "나쁜 일"이라고 답했다. 이는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높은 부정 응답률이다...
  •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대규모 추방 프로그램 계획 발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추방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논란이 일고 있다. 트럼프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100만 건 이상의 이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며 강경한 이민 정책을 예고했다. 부통령 당선자인 JD 밴스도 이에 동조하며 정책 실행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했지만,..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가족사진 촬영에 함께 한 일론 머스크와 그의 아들. ⓒ카이 트럼프 공식 유튜브 계정
    일론 머스크, 트럼프 새 행정부 인선 개입 논란… 참모들 사이 불만 고조
    워싱턴포스트(WP)는 17일(현지시각) 머스크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재무장관 후보를 두고 자신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며 참모진을 압박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참모들 중 일부는 머스크가 정부 인사와 정책 결정 과정에서 과도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불만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 6일 서울 중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선언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다시 돌아온 트럼프… 한국 경제 '먹구름'
    국제금융센터 박미정 부전문위원은 트럼프의 10% 보편 관세 부과 정책이 실현될 경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약 1.0%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박 위원은 "2023년 기준 한국의 대미 수출의존도가 GDP의 6.3%를 차지하고 있어, 2015~2019년 대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 경제 성장의 불가피한 타격을 경고했다...
  • 한미동맹 (썸네일용)
    美전문가들, 한미 정상회담 주요의제는 ‘동맹강화’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한반도의 안보를 위한 한미 양국간 동맹강화가 이번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미국 내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미국의 스캇 스나이더 미국 외교협회 선임연구원은 26일(현지시간) "이번 한미 양국 정상회담에서는 북한 문제를 놓고 두 나라가 갖고 있는 이견을 좁히기 위한 방안 모색이 주요 의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