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신천지)의 은밀한 지역사회 침투 시도에 지역사회가 온통 벌집 쑤신 듯 시끄럽다. 경기도 고양시는 최근 신천지 측이 매입해 시에 신청한 종교시설 용도 변경을 허가했다가 지역 주민과 교계의 반발로 취소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인천시에선 이런 갈등이 10년째 이어지고 있다.

사건은 지난 2018년 일산동구 풍동 소재 지하1층 지상 3층 물류센터 건물에 대해 고양시가 실소유주가 신청한 종교시설 용도변경을 한 차례 불허했다가 지난해 6~8월 다시 신청하자 허가한 게 발단이 됐다. 이 과정에서 해당 건물이 신천지 측이 한 개인을 내세워 포교 거점지를 세우기 위한 목적으로 위장거래 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런 사실이 전해지자 지역 주민들과 교계가 들고 일어났다. 해당 지역의 정치인들도 여야 할 것 없이 한목소리로 종교시설 용도변경을 허가해준 시 당국을 비판하고 나섰다. ​논란이 커지자 고양시는 지난 10일 ‘용도변경 허가 및 사용승인 취소’ 절차에 들어간 뒤 시장이 직권으로 종교시설 용도변경 허가 취소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고양시민들의 시정에 대한 불신이 커 사태가 쉬 가라앉을 것 같지 않다.

고양시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인허가 업무에 대한 관리·감독 소홀 책임을 물어 이정형 제2부시장을 직위 해제하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다. 하지만 신천지 측이 고양시가 용도변경을 허가한 후 여론에 떠밀려 취소 처분한 것을 문제 삼아 행정소송을 제기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양시 기독교계와 지역 주민, 27개 시민사회단체는 이단 사이비 척결을 위한 고양시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조직하고 신천지 척결에 나섰다. 고양시의 행정 미숙과 미흡한 대처가 이번 사태를 키웠지만, 지역사회 포교 거점 확보에 나선 신천지집단에 대응하기 위해선 지역공동체가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이 건 고양시에만 국한된 사안은 아니다. 인천 중구에선 신천지와 지자체 간의 갈등이 10년째 이어지고 있다. 이곳 역시 신천지 소유건물에 대한 용도변경이 핵심 쟁점이라는 점에서 고양시와 흡사한 케이스라 할 수 있다.

신천지가 인천 중구 옛 ‘인스파월드’ 건물과 토지를 매입한 건 10년 전인 2013년이다. 이후 줄곧 이 건물을 종교시설로 바꿔 사용하려 시도하면서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이 이어져 왔다. 문제는 중구청이 신천지가 소유한 건물과 땅을 최근에 ‘문화집회시설’로 용도변경 해 줬다는 사실이다. 종교시설은 허가하지 않으면서 지상 4층에 공연장을 지을 수 있도록 허가해준 건데 말이 공연장이지 실제론 신천지 포교를 위한 종교시설로 사용하기 위한 ‘꼼수’라는 게 주민들과 지역 교계의 주장이다.

사실 ‘문화·집회 시설’로 허가가 난 건물에선 원칙적으로 종교집회를 할 수 없다. 하지만 신천지라면 얘기가 다르다. 이들은 대개 출입자들의 신분을 지문인식이나 신분증 등으로 확인하는 등 폐쇄적인 성향 탓에 건물 안에서 종교집회를 연다 한들 이를 단속하기가 쉽지 않다.

중구청이 신천지 소유건물에 용도변경을 허가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주민들은 거의 매일 중구에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교계도 주민들과 힘을 합해 중구청 앞에서 ‘용도변경 허가 취소 촉구 집회’를 열었다.

주민 반발이 거세지자 결국 중구청이 손을 들었다. 용도변경은 승인했지만, 리모델링 공사에 제동을 건 것이다. 주민과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면 착공을 허가할 수 없다는 게 이유인데 신천지 측이 신도들을 모아 연일 대규모 시위를 벌이고 있는 데다 인천시에 행정심판을 청구하는 등 갈등이 더욱 격화되는 모양새다.

신천지가 매입한 ‘인스파월드’라는 이름의 이 건물은 지난 2010년 11월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 당시 연평도 주민 700여 명이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유명해졌다. 그러나 그 이후 여러 가지 악재가 겹치면서 경영난에 허덕이다 경매로 넘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건물을 신천지가 지난 2013년에 거액을 들여 매입했다는 건 누가 봐도 목적이 뻔해 보인다. 매입 당시에 이 건물을 ‘종교시설’로 쓰겠다고 허가를 요청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때는 지역 반발을 의식해 허가하지 않다가 ‘문화집회시설’로 이름을 바꾸자 용도변경을 승인한 지차체의 행정 부실이 오늘의 사태를 키웠다고 할 수 있다.

지역에 특정 종교시설이 들어올 때 인근 주민들과 갈등을 빚는 사례는 왕왕 있었다. 신도시 등에 교회를 건축할 때 주민 갈등으로 곤욕을 치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번 고양시와 인천 중구의 경우처럼 지역 주민과 종교계, 정치인까지 합세해 반대에 나서는 사례는 아예 없다.

이걸 ‘님비’ 현상(필요한 공공시설이지만 자신의 지역에 설치되는 것은 기피하는 행동)이라 할 순 없다. 그렇다고 ‘종교의 자유’와 ‘공공복리’ 사이의 충돌로 해석하기도 어렵다. 답은 왜 신천지가 국민 사이에서 반사회 집단으로 여겨지고, 왜 한국교회 전체가 이단으로 규정했는지에 이미 나와 있다.

신천지가 유입되는 지역마다 어김없이 갈등이 일어나는 것을 보며 드는 생각은 우리나라는 ‘종교의 자유’가 있는 나라이지만 그건 뭘 해도 다 되는 ‘무한’ 자유의 개념이 아니란 거다. 국민에게 외면받는 종교는 법이 소용없다. 국민과 등지고 싸워서 얻을 게 무엇인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