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국내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3800조원을 돌파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경제 주체들의 빚이 빠르게 불어나면서 민간신용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15%를 넘어섰다. 취약 가구 차주의 가계대출이나 실적이 악화된 기업들의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현실화 될 가능성도 언급됐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1년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명목GDP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15.5%로 전년말(197.1%)보다 18.4%포인트 상승했다. 1975년 통계편제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이다. 명목GDP 성장률이 둔화된 가운데 가계와 기업부채를 합한 민간신용이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와 기업부채(자금순환 기준)를 합한 규모는 3879조6000억원으로 전년(3555조7000억원) 대비 323조9000억원(9.1%) 급증했다. 가계빚은 1726조1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9% 늘었다.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돈 마련)' 열풍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빠르게 늘어난 가운데 주식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동반 급증했기 때문이다.

처분가능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175.5%로 전년 동기 대비 13.2%포인트 증가하는 등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소득은 제자리인데, 가계빚만 빠르게 쌓인 결과다.

기업부채는 2153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늘어났다. 가계빚보다 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 셈이다. 코로나19 관련 자금 수요와 정부·금융기관의 금융지원이 이어지면서 기업들이 금융기관 기업대출(1359조4000억원)을 전년동기대비 15.3% 늘린 영향이다.

한은은 고용과 업황 부진 등으로 경기회복이 차별적으로 진행될 경우 취약 가구 차주의 가계대출이나 실적이 악화된 기업들의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진단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소득 개선 부진 등에 따른 소득대비 부채부담 증가, 실적 악화로 인한 기업 재무건전성 저하, 건전성 지표와 실제 신용위험간 괴리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 관점에서 민간부채의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출 #가계대출 #기업대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