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덕영 감독
    영화 ‘건국전쟁2’, 해방 전후 좌익과 공산주의 역사 집중 조명
    지난해 117만 관객을 모았던 다큐멘터리 ‘건국전쟁’의 후속작 ‘건국전쟁2: 프리덤 파이터’가 오는 9월 10일 개봉한다. 김덕영 감독이 각본과 촬영, 연출을 맡은 이번 작품은 1945년 8월 15일 해방부터 1950년 6·25전쟁 발발 직전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해방 후 한반도에서 벌어진 좌익 활동과 공산주의..
  • 리버티국제영화제
    ‘건국전쟁’ 김덕영 감독, 11월 22일 ‘리버티국제영화제’ 개최
    제4회 리버티국제영화제(Liberty International Movie Festival)가 오는 22일 오후 3시 서울 삼성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개최된다. 이 영화제는 영화 ‹건국전쟁› 김덕영 감독이 집행위원장으로 있으며, 민간 영화제이다. 이번 영화제에는 전 세계 영화감독들이 '자유'를 소재로 만든 영화들 150여 편 출품되었다. 주최측은 올해는 최우수 감독상, 작품상, 각본상 등 총 1..
  • 김재욱(오른쪽 세번째) 군수가 이승만 전 대통령 동상 제막식에 참석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 내빈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칠곡군
    영화 '건국전쟁' 효과… 이승만 동상에 '새로운 시선'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의 흥행 이후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 세워진 이승만 전 대통령 동상이 주목받기 시작하며 관람객이 증가하고 있다. 동상은 2017년 민간단체에 의해 제작된 후 설치 장소를 찾지 못하다가 경북도와 협의를 거쳐 다부동전적기념관에 백선엽 장군,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 동상과 함께 2021년 7월 건립됐다...
  • 건국전쟁
    <건국전쟁> 시애틀 상영 매진 행렬… 통로·계단에도 앉아
    이승만 건국 대통령의 업적과 일대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이 미국 시애틀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지난 24일(현지 시간) 사우스센터 AMC극장에서 두 차례 상영된 <건국전쟁>은 300석 가까운 좌석이 모두 매진됐으며, 일부 한인들은 자리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계단이나 통로에 앉아 시청하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다...
  • &lt;김덕영 감독이 말하는 건국전쟁&gt; 출판기념회
    “이승만 대통령의 진실된 역사 밝힐 때까지 포기 않을 것”
    영화 <건국전쟁> 김덕영 감독의 신간 <김덕영 감독이 말하는 건국전쟁> 출판기념회 및 저자 사인회가 22일 오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행사는 개회사, 축사, 작가와 북 토크 순으로 진행되었다. 축사 시간에 이호 목사(거룩한대한민국네트워크 대표), 고세진 박사(前 아신대학교 총장), 신언 전 주파키스탄 대사가 축사를 전했다...
  • 김덕영 감독이 말하는 건국 전쟁
    김덕영 감독, 책 ‘건국전쟁’ 출간… 영화의 감동 잇는다
    신간 「김덕영 감독이 말하는 건국전쟁」(킹덤북스)이 최근 출간되어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행적을 추적한 영화 '건국전쟁'은 건국 대통령 이승만에 관한 진실을 밝힌 작품으로,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 큰 충격과 울림을 준 바가 있다...
  • 건국전쟁
    한반도에서의 ‘건국전쟁’과 남북의 엇갈린 운명
    영화 ‘건국전쟁’을 보고 나오면서 느낀 가장 첫 번째의 울림은 하나님을 향한 감사였다. 휴전선 이남의 한반도를 공산화의 물결이 휩쓸고 내려가지 않도록 지키시고, 자유와 권리가 보장되며 주권이 우리 국민에게 있는 대한민국으로 바로 세우신 그 은혜 안에 오늘의 우리가 있다. 영화는 오늘날 남과 북의 대조적인 현실을 견주어 보며 시작된다. 휴전 그리고 남북 분단의 고착화가 이루어지고 근 70..
  • 건국전쟁
    [<건국전쟁>을 바라보는 학생들의 시선(9)] 우리는 1948년 8월 15일 건국절을 잊지 말아야 한다
    <건국전쟁>을 보기 전, 사실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다. 어쩌면 대한민국 청년 중 상당수가 재밌고 자극적인 문화요소들에 흥미를 느낄 뿐 자유민주주의, 건국,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지 않을까 싶다. 영화를 보기 전에는 우리 사회가 이승만 대통령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왜곡된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는 흐름정도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영..
  • 건국전쟁
    [<건국전쟁>을 바라보는 학생들의 시선(8)] 기도로 건국된 나라, 대한민국
    일제의 지배를 받던 시대를 지나고 마침내 광복,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손으로 맞이한 독립이 아니었다.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의 영향으로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 반으로 갈라질 수 밖에 없었다. 한민족이지만 추구하는 이데올로기가 달랐다. 그렇게 6.25전쟁이 발발하며 나라는 다시 혼란에 빠졌고 그 속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자유대한민국을 추구하며 오로지 하나님의 말씀을 기준으로 국민을 바른길로 ..
  • 한미동맹USA재단 영화 &lt;건국전쟁&gt; 미국 상영 확대
    한미동맹 강화 위한 다큐멘터리 <건국전쟁> 미국 상영 확대
    한국에서 100만 관객 돌파한 김덕영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이 미국 내에서 널리 상영되고 있다. 이 영화는 지난 2월 16일 LA의 CGV극장에서 개봉되었으며, 미국 전역 주요 도시에서 활발한 상영이 이뤄지고 있다. 김덕영 감독 및 제작사는 미국 내에서 상영 요청이 많았고, 이를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상영회를 개최하고자 했다. 이에 한미동맹USA재..
  • 건국전쟁
    [<건국전쟁>을 바라보는 시선(7)] 우리가 역사를 정독해야 하는 이유
    ‘독서’와 ‘역사’에 대한 관심에는 공통점이 있다. 어릴 적 읽었던 책을 나중에 커서 다시 읽었을 때 느끼는 감정과 깨닫는 바가 다른 것처럼, 역사 또한 그러하다. 지루하고 재미없게 느껴지던 역사가 성인이 되어보니 새롭게 다가오는 것이다. 영화 <건국전쟁>도 처음에는 단순한 호기심에 보게 되었다. 그런데 영화를 보며 무언가 마음 속 깊은 곳에 큰 울림이 일어났고, 영화가 마친 뒤 상영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