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70년, 민족 화해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교회의 과제
NCCK가 ‘한국전쟁 70년, 민족 화해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교회의 과제’란 신학포럼을 열었다. ©노형구 기자

NCCK(총무 이홍정 목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한국전쟁 70년, 민족 화해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교회의 과제’라는 주제의 신학포럼을 12일 오후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개최했다.

첫 번째로 홍승표 목사(감리교신학대학교 외래교수)가 ‘한국교회의 한국전쟁 인식과 역사적 반성’이라는 제목으로 발제했다. 홍 교수는 “한국전쟁으로 남북한 양편에서 500만 명이 넘는 사상자가 나왔다. 전쟁 중 948개 교회당이 전소됐다”며 “1952년 6월 25일 기준으로 남한에서는 400여 명의 목회자, 북한에서는 240명, 감리교 46명이 희생됐다. 이런 전쟁의 폭력성은 한국교회에 집단적 트라우마를 남겼다”고 했다.

그는 “NCCK는 ‘파월장병을 위한 전국기도회’ 권고문을 통해 ‘공산침략의 경험을 지닌 한국이 반공전선의 제일선에 서 있다’면서 월남전 참전에 의미를 부여했다. 1975년 「기독교사상」에 실린 좌담에서 전택부는 ‘기독교와 공산주의는 양립할 수 없다’며 승공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런 현실은 맹목적인 반공을 강화하는 부작용을 낳았다”고 했다.

홍 교수는 “한국 개신교의 반공적 정체성은 빨갱이라는 차별적 언어로 드러났다. 이는 또 다른 차별을 합리화하고 확대재생산하는 근거가 됐다”며 “한국전쟁의 트라우마는 경제적 측면에서 기복신앙과 결합해 강력한 화학반응을 일으켰다. 이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상황에서 더욱 고착화돼서 기독교의 근본정신과 토대를 위협하는 물신숭배로 이어졌다”고 했다.

또 “한국전쟁 이후 고신파(1951), 기장·예장(1953), 예장합동·통합(1959)의 분열이 전개됐다. 이러한 사실은 6.25전쟁이 한국교회 분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라며 “오늘 한국교회는 이런 반공주의와 혐오·적대 정서를 복음과 열린 신앙을 통해 극복해야 할 역사적 책임과 과제가 남아있다“고 했다.

이어 최형묵 목사(NCCK 정의평화위원장)은 ‘분단 이데올로기와 한국 교회의 신학’이라는 제목으로 발제했다. 그는 “반공주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로서 우리 사회에 매우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했다. 예컨대 친미주의, 교회-국가 유착, 교회-자본 유착 등과 관련돼 있다”며 “이런 반공주의는 한국적 근대화 과정에서 명실상부하게 지배 이데올로기로 자리했다. 이는 월남한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강화되어 왔다(윤정란, 『한국전쟁과 기독교』)”고 했다.

그는 “분단 이데올로기가 문제시되는 것은 또 다른 분단 이데올로기를 양산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타자를 정죄함으로 스스로의 정당성을 내세우는 고질적인 병폐가 한국교회 안에 자리하고 있다”며 “새로운 교회 연합체의 등장은 극단적 분단 이데올로기에 매인 교회가 사회적 공감을 얻지 못한다는 반증이다. 교회의 미래는 얼마만큼 예민하게 시대정신을 읽어내고 변모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또 ‘민족 화해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교회의 소명’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김희헌 목사(기장 평화공동체운동본부 집행위원장)는 “기독교 통일 운동은 국가 주도적 활동이 담보할 수 없는 풀뿌리 평화운동으로, 공동체적 삶의 파괴에 맞설 상상력 있는 대안 체제 운동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자본이 주도하는 남북교류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한계는 분명하다. 필요한 것은 민(民)이 주체가 되어야한다”며 “이 원리는 개신교 통일 운동에도 적용돼야 한다. 아래로부터 민(民) 주도의 평화 운동을 전개하면 민(民)도 살고 역사도 사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 목사는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는 1996년 북한동포 돕기 사랑의 헌금, 1997~8년 평화의 성금보내기 운동, 1999년 북한동포 돕기 사업, 2002년 사랑의 쌀 보내기 운동, 2004년 룡천역 폭발사고 돕기 운동, 2006년과 2008년 식량과 생필품 보내기, 2008년 7월부터 ‘국수 한 그릇 나누기 운동’을 벌여서 21차례의 밀가루 지원 활동을 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지난 이십여 년 동안 기장 교단의 대북지원 사업은 교인들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 활동의 제약은 정부의 제재뿐만 아니라 지원사업 자체의 ‘시혜적’ 성격 때문”이라며 “일방적인 ‘지원사업’에서 남과 북의 ‘협력사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장기적인 교류협력의 토대가 될 만한 사업을 전개해야 한다”고 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CCK #민족화해와한반도평화를위한교회의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