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공 김재준 목사 기념사업회의 목요강좌가 한신대원 장공기념관에서 진행되고 있다. ⓒ김진영 기자

동신대를 살았던 고(故) 추양(秋陽) 한경직 목사(1902~2000)와 장공(長空) 김재준 목사(1901~1987)는 미국 프린스턴신학교 동문이지만, 이들을 서로 신앙 노선을 달리했다. 한 목사가 보수 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면 김 목사는 그 반대인 진보 교계를 이끌었던 것. 왜 이들은 다른 길을 갔던 것인가?

‘(사)장공 김재준 목사 기념사업회’는 3일 서울 수유동 한신대 신대원 장공기념관에서  ‘한경직과 김재준, 그들의 삶과 사역’이라는 주제로 제28회 목요강좌를 열었다. 이날 김은섭 박사(한경직목사기념사업회 연구목사)는 주제로 발표를 통해 두 거장의 삶을 돌아보고 사역을 평가했다. 특히 연규홍 박사(한신대 교회사)는 논평에서 한경직·김재준 목사 각각의 삶과 사역을 따로 분석하며 그들의 다른 길에 대한 배경을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 장공 김재준 목사(왼쪽)와 추양 한경직 목사 ⓒ크리스천투데이 DB

◆ ‘학자적’이었던 장공과 ‘목회적’이었던 추양

연 박사는 두 거장이 서로 다른 신앙적 색깔을 지니게 된 점에 대해 장공은 학자적 스타일이었고, 추양은 목회적 스타일이었다고 분석한다. 그에 따르면, 장공은 유학자의 집에서 태어나 19세기까지 한학을 공부한 사람이었다. 어려서부터 동양고전을 외우고 썼으니 경서를 읽는 깊이 있는 눈으로 성서도 읽었다는 것이다.

연규홍 박사는 “그에게 있어 신앙은 예 할 것은 예 하고 아니오 할 것은 아니오 하는, 선택과 결단의 행동”이라며 “그래서 그는 ‘행동하는 신앙’을 말한 야고보를 좋아했다. 한 평생 그의 키만큼 글을 썼고 그 글 하나하나는 시대의 진실을 증언하며 역사를 바꾸는 힘을 갖고 오늘의 한신과 기장을 세웠다”고 평가했다.

반면, 추양에 대해선 "부끄러움 없이 남 앞에 서서 말하는 웅변에 능했다"며 이 때문에 "복음의 선포를 통해 소외되고, 가난한 이들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고 많은 이들을 회개하게 했다"고 말했다.

연 박사는 “그의 메시지는 남녀노소 누구든 감동시키는 힘이 있었고 권위가 있었다”며 “오늘날 영락교회의 놀라운 부흥은 그의 설교의 열매였다. 특히 그는 과학도의 길을 포기하고 병으로 사선을 넘어 목회자가 되었기에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을 말하는 사도 바울을 매우 좋아했다”고 덧붙였다.

◆ 공산주의·독재체제 대하는 입장 달라

그러나 두 목회자가 신앙적 노선을 결정적으로 달리한 계기로 연 박사는 ‘공산주의’에 대한 인식의 차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추양은 군사독재라 할지라도 그것이 무정부주의나 공산주의보다는 낫다는 것, 즉 반공국가가 더욱 현실적이라는 목회적 판단을 했으나 장공은 진정 공산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독재체제 하에서 천민자본주의를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반독재·반자본주의적 입장에 섰다"고 평가했다.

연 박사는 ‘공산주의’를 두고 추양과 장공의 입장이 갈라진 배경에는 둘의 ‘신학사상적 차이’가 있다고 했다.

그는 “추양과 장공은 둘 다 개혁교회의 신학전통에 선 장로교회의 목회자이다. 둘 다 교회와 국가에 대한 칼빈의 그리스도 왕권론적 정치윤리를 받아들인다”며 “그러나 1972년 유신체제 이후 전개된 독재정권의 국가폭력 하에서 교회 공동체가 무엇을 해야 하느냐 하는 점에서 서로의 입장이 달랐다”고 밝혔다.

이러한 입장 차이로 장공은 "국민의 권력을 위임받은 국가나 정부가 잘못된 길을 갈 때 이에 비판적으로 저항해야 하는 것이 교회의 선교사명이라고 생각했던" 반면, 추양은 "교회의 성장을 통한 국면의 전환이 중요했기에 그에게 가능한 선택은 비참여적 묵인의 길"이었다는 것도 갈파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장공김재준목사 #김재준목사 #추양한경직목사 #한경직 #한경직목사 #미국 #프린스턴신학교 #목회자 #진보 #보수 #공산주의 #유신 #독재체제 #한신대 #김재준목사기념사업회 #목요포럼 #연규홍박사 #연규홍 #김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