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에서는 유복한 가문에서 태어났다고 말할 때 “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 (Someone was born with silver spoon in one’s mouth)”라고 표현한다. 부유한 집안은 은식기를 사용 한데서 유래한 것 같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금수저와 흙수저”를 대비해서 사용하는 것은 태어난 배경의 차이에 대한 영국식 부러움의 표현을 훨씬 더 과장하여 유복한 배경의 사람을 공격하.. 사회정의는 성경적 정의인가?
스콧 알렌(Scott D. Allen)은 지역사회 개발과 빈곤퇴치 및 정의 구현에 평생을 헌신해 온 기독교 운동가이다. 최근 저서 <사회정의는 성경적 정의인가?>의 서문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경고하고 있다. “최근 들어 어떤 강력한 이데올로기가 복음주의 교회의 중심부까지 깊숙이 침투하고 있다... 성경적 부부관계
부부는 최초의 인간인 아담과 하나님 사이의 수직적 관계가 형성된 이후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인간과 인간 사이에 형성된 관계이다. 하나님은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대행하는 청지기로 삼으셨다(창 1:27~28). 하나님은 혼자 있는 아담을 위해 그의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돕는 배필로 주셨다. 그리고 남자가 부모를 떠나 아내와 합하여 둘이 다시 한 몸을 이루라는 결혼의 제도를.. 성경적 결혼문화 지키기
인간이 아직 죄가 없었을 때 하나님께서 한 남자와 한 여자 사이에 “결혼”이라는 제도를 정하셨다. 사도 바울은 결혼의 관계가 하나님과 그의 백성, 그리스도와 그 교회 사이 관계의 큰 비밀을 품은 모형이라고 말한다(엡 5:32). 그리스도와 교회가 한 몸인 것처럼, 남자와 여자가 한 몸으로 연합을 이루는 것이다. 예수님은 이 혼인의 언약에 대해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 제4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의 반성경적 조항들의 문제점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이하, 인권 NAP)은 5개년 단위의 범국가적 종합계획이며 인권의 법적 보호 강화와 제도적 실천 증진을 목표로 표방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 법무부가 추진 중인 제4차 인권 NAP에는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거스르는 많은 독소조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우상숭배의 폭풍을 이겨내는 성경적 문화 만들기
우리나라의 저출산과 고령화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이미 20~30년 전의 잘못된 이념과 정책으로 인구의 구조가 만들어졌고, 결혼과 출산할 인구가 줄어버린 인구절벽은 그때 이미 결정된 것이다. 한 교회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저출산 고령화의 원인은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부, 명예, 권력 등의 세상의 우상을 열망하며 따라가는 우상숭배이다. 둘째, 성경이 가르치는 성-생.. 성 혁명 폭풍을 이겨내는 성경적 문화 만들기
마틴 로이드 존스 목사의 이사야 5장 강해 설교를 엮은 책이 “진노 아래 놓인 민족”이다. 이 책은 이사야 시대의 예루살렘과 우리 시대가 물질주의에 빠져서 도덕적 타락에 헤매는 것이 전혀 다르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성경의 도덕적 기준은 절대적이며 변경되지 않았다. 이사야는 당시 유대인들이 그 기준을 자기가 지킬만한 수준으로 바꾸거나 없앴다가 결국에는 선과 악을 뒤집어 버리는 전도(轉倒)의.. 인구절벽에 대한 성경적 해결책
학자들과 정부 정책 입안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결혼하지 않는 비혼과 결혼을 늦게 하는 만혼이 저출산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의 비혼 현상의 심각성은 수치가 극명히 보여준다. 2020년 기준으로 30대 남성은 50.8%, 여성은 33.6%가 미혼이다. 이는 1990년대 30대 남성 9.5%, 여성 4.1%에 비해 5배에서 8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비혼 인구가 증가하는 것이 저출산으로 .. 인구절벽에 대한 성경적 원인 분석
신뢰도 높은 설문기관인 바나그룹(Barna Group)의 2021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에서 오직 6%의 기독교인들만이 성경적 세계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통계가 없어 알 수는 없다. 성경적 세계관 정립은 단순한 가지치기가 아닌 문제의 근원을 회복시키시는 하나님 은혜의 방편이다. 죄로 인해 깨어진 창조의 원래 목적과 질서, 그리고 우선순위를 성경 말씀의 기준에 따라 회.. 이런 영화 봐도 될까요?
우리는 세상 속에 살면서 세상의 문화를 소비하고 우리가 생산한 문화를 세상 속에 전파하며 살고 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은 “세상 속에 있되 세상에 속하지 않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다양한 세상의 문화 중에 그리스도인은 어떤 문화를 가까이하고 어떤 문화는 멀리해야 할까? 영화를 예를 들어 생각해보자. “그리스도인은 선정적인 영화를 봐도 될까?” 혹은 “그리스도인은 폭력적인 영화를.. 복음 전파와 문화
우리는 성경 전체를 아우르는 거대서사(메타네러티브)를 창조-타락-구속-완성의 4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님께서 물질적 우주와 모든 생명을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말씀으로 창조하셨다. 그것의 최고봉이 인간의 창조이며, 그 인간에게 첫 명령을 내리셨는데 우리는 이를 문화명령 혹은 생육/문화명령이라 부른다... 그리스도인이 세상 문화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
세속의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변혁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사명이라면 반드시 세속의 문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인데, 거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우리에게 다른 선택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혼자 살 수가 없고, 이웃과 함께 살도록 창조되었다. 인간이 모여 사는 곳에는 반드시 문화가 발생하고, 이전의 문화를 이어받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면서 살아간다. 하나님이 인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