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화를 찾아 유럽을 여행하다가 고딕 성당인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에 가면 온통 조각으로 가득 찬 서쪽 정문을 만나게 된다. 이 정문 윗 쪽의 반원형 팀파눔(tympanum)에는 최후의 심판 장면이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

<최후의 심판(부분) > AD.1220~30년, 팀파눔 부조    ©노트르담 대성당 서측 파사드(파리)

3단으로 된 이 조각의 상단 중앙에는 심판자인 예수 그리스도가 좌정해 있고, 양 쪽에는 영혼의 구원을 위해 기도하는 성모 마리아와 세례요한(또는 사도요한)을 나타내는 데이시스(Deissis)를 배치하고 있다.

하단에는 최후심판의 날에 무덤에서 깨어나는 자 들의 모습을 조각 하였다.

가운데 칸에는 날개가 있는 미카엘 대천사가 사탄의 우두머리와 나란히 서서 손에 저울을 들고 무덤에서 깨어난 영혼의 무게를 달아 심판하는 천국과 지옥의 장면이 있다.

필자는 몇 년 전 스페인을 여행하다가 바르셀로나의 카탈로니아 미술관에서 '영혼의 무게 달기(psychostasia)' 란 제목의 작은 제단화 두 장을 수집하여 가지고 있다.

이 그림은 성 미카엘 성당의 성상대의 부분으로 13 세기 후반 소리주에로라의
장인(Master of Soriguerola)이 패널에 그린 것이다.

노랑 날개에 청색 망토를 입은 미카엘 대천사가 머리에 뿔이 난 검은 옷의 사탄 우두머리와 마주 서서 아치형 지붕에 걸어 둔 천칭(평형저울)으로 부활한 영혼의 무게를 달고 있다. 악인의 저울 접시에는 마귀가 매달리고 있으나 선한 영혼은 기도하는 자세로 서 있다.

<영혼의 무게 달기(부분)> 소리주에로라의 장인, 13세기 후반   ©성 미가엘 성당(스페인)

저울이 선한 영 쪽으로 기울어져서 천국행이 결정 되었다. 작은 아기천사가 그 영혼을 들어 올려서 오른 쪽 천국 문에서 천국열쇠를 들고 있는 베드로 사도에게 인계하여 최후의 심판이 끝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중세 교회는 기독교 신자들에게 최후의 심판 날에는 미카엘 대천사가 영혼의 무게를 달아 악한 영혼은 지옥의 유황불 속으로 떨어지지만 선한 영혼은 천국으로 가는 구원을 받는다는 교리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영혼의 무게달기 도형을 사이코스타시아(psychostasia)라 한다.

성경에는 영혼의 무게를 저울에 다는 이야기가 몇 군데 나온다.

다윗이 지은 시편(62편)에는 여호와를 신뢰할 것을 권고하면서 믿음이 없는 자들에게는 '그들을 다 저울에 올려놓아도 입김 보다 가벼울 것' 이라고 읊고 있다.

또한 솔로몬 시대의 지혜문학인 욥기(31장)에서 주인공 욥은 '하나님이 내 정직함을 공평한 저울로 달아보시면 내게 흠이 없음을 아실 것' 이라고 맹세하고 있다.

이스라엘민족의 바벨론 포로시대 묵시문학인 다니엘서(5장)에도 저울에 무게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바벨론의 벨사살왕이 연회를 베푸는데 예루살렘 성전에서 빼앗아 온 성배에 술을 부어 마셨다. 바로 그 때에 사람의 손이 나타나 벽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고 썼다. 다니엘이 이를 해석 하였는데 '데겔' 은 '임금님이 저울에 달리셨는데 무게가 부족함이 드러났다' 는 뜻이었다. 바로 그날 밤에 벨사살왕은 살해되고 메대 사람 다리우스가 그 나라를 차지하였다.

위에서 본 성경 세 군데에 나오는 저울에 무게 다는 이야기의 공통점은 최후의 심판과 관련된 사건이라는 점이다.

<사이코스타시아> B.C. 1285,사자의 서 Book of the Death   ©영국미술관

인류역사에서 영혼의 무게달기 기원은 이집트의 사자의 서(Book of the Death)에서 찾을 수 있다. 큰 저울의 한 쪽에는 영혼이 담긴 파라오의 심장을, 다른 쪽 접시에는 정의의 여신을 상징 하는 타조 깃털을 올려놓고 저울 앞에 앉은 아누비스신이 영혼의 무게를 달고 있다. 여기서는 저울의 양 쪽 무게가 평형을 이루어야 파라오의 부활이 가능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세 기독교의 사이코스타시아 도상이 조각으로 나타난 것은 12세기 초이다. 대부분 프랑스에 있는데 생 레베리엥(St.Reverien) 교회의 주두조각(capital sculpture)에는 하나님의 손이 저울을 들고 있고, 아를(Arles)에 있는 생 트로핌(St.Trophime) 교회 벽의 부조에는 미카엘 대천사가 저울을 들고 있다.

12 세기 후반에는 콩크(Conques) 수도원의 서 쪽 정문인 파사드(facade)에 있는 팀파눔 조각과 오툉(Autun) 대성당에 있는 팀파눔 조각의 사이코스타시아가 유명하다.

<최후의 심판(부분)> 12세기   ©오툉 대성당(프랑스)

과연 인간의 영혼은 무게가 있는 것 일까?

성경에서 저울에 영혼을 다는 이야기를 보면 최후의 심판 때에 부활한 인간의 영혼을 저울로 달아 천국행과 지옥행을 심판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있다.

그러나 성경 어디에도 미카엘 대천사가 저울을 들고 영혼의 무게를 잰다는 근거는 없다. 천국에 가려면 영혼이 무거워야 하나 가벼워야 하나 하는 것도 분명하지 않다. 실제 제단화와 교회 조각에서 보면 고딕양식 도상에서는 선한 영혼의 접시가 아래로 내려오고 저주받은 영혼의 접시가 위로 올라간다. 그러나 폴란드의 그다인스크 국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스 멤링(Hans Memling)의 세 폭 제단화인 '최후의 심판'은 다르다. 공작새의 날개를 한 미카엘이 든 심판 저울의 기울기는 여느 것과는 반대 방향이다.

중세에 왜 사이코스타시아 도상이 생겨나 성당 건물과 제단화에 저울을 든 무서운 재판 장면이 등장한 것일까?

학자들 간에 대체로 두 가지 이유를 들고 있다.

하나는 종말론 사상이 세상을 휩쓸던 AD.1000년 전후의 유럽 상황과 12~13 세기의 전쟁과 기근과 페스트 등의 위기의식이 최후의 심판이란 모티프로 확장한 것이고, 또 하나는 신 중심의 중세 기독교 사회에서 교회가 기독교 신자들을 통제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강력한 공공의 시각장치였다는 것이다.(주1)

저울은 고대 이집트나 로마 그리스 시대에도 정의와 공평의 상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성경에서의 저울의 의미도 하나님은 저울에 달듯이 우리의 모든 행위를 판단하신다는 뜻이며 욥도 공평한 저울에 달려서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살기를 원한다는 말일 뿐이다.(주2)

나의 영혼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미국 매사추세추 병원에서 임종 직전 환자의 체중 변화를 여러 번 관찰한 결과 28.4 그램(g)에서 35.42 그램이 줄어들었다 한다. 스웨덴병원의 검증에서는 영혼의 평균 무게가 21.26214 그램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실험을 근거로 얼마 전 멕시코 영화 에서는 영혼의 무게가 21 그램이라고 하였다.

다 부질없는 실험이다. 이는 세계적인 경제위기와 정신적 불안에 떠는 현대인에게 또 다시 종말론이 고개를 드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주1) 박성은 <플랑드르 사실주의 회화> 2008,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p.202
(주2) 박윤선 <성경주석 욥기 전도서 아가서> 1984,영음사.p.298

강정훈 교수는…

강정훈 교수는 1969년 제7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해 뉴욕 총영사관 영사(1985~1989)를 거쳐 조달청 외자국장, 조달청 차장(1994~1997) 등을 지내고 1997~1999년까지 조달청장으로 일했다.

강정훈 신성대학교 교수

행정학박사(연세대·서울대 행정대학원·성균관대학원)로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2004~2005), 2003년부터 현재까지는 신성대학교 초빙교수를 맡고 있다. 또 (사)세계기업경영개발원 회장(2003~2008)을 역임하기도 했다.

강 교수는 1992년 성서화전시회를 개최했으며 1994년에는 기독교잡지 '새가정'에 1년 2개월간 성서화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했다.

현재 자신의 블로그 '영천의 성서화 라이브러리(http://blog.naver.com/yanghwajin)'를 통해 다양한 성서화와 이어 얽힌 뒷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그는 35년간 중세의 성서화 자료와 한국학 및 한국 근대 초기 해외선교사의 저서를 모으고 있다. 그 중 한국학 및 한국 근대 초기 해외선교사 저서 및 자료 675점은 숭실대 학국기독교박물관에 2011년 기증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강정훈 #영혼의무게 #성경궁금증 #성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