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청와대 회동에 배석한 뒤 통의동 인수위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전 대통령 사면 논의에 대해 "오늘 사면 문제 관해선 일체 거론이 없었다"고 전했다... 尹 "靑 시대 마감 원해"… 文 "예산 살펴 협조"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 이후 19일 만인 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찬 회동을 가졌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예산 등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고 말했고 이에 윤 당선인은 "청와대 시대를 꼭 마감하고 싶다", "잘된 정책은 계승하겠다"고 답했다고 윤 당선인측이 밝혔다... 우여곡절 文·尹회동, 유영민·장제원 다리 놓고 文·尹 결단
이번 회동이 성사되기 까진 우여곡절이 많았다. 인사 문제를 놓고 양측이 불신만 쌓은 데다 청와대 용산 이전의 안보 불안 논란에 양측이 정면충돌하기까지 했다. 양측간 갈등이 전방위로 확산되면서 심지어 '회동 무용론'까지 나왔을 정도로 분위기가 험악했다... ‘北 피격 공무원 자료 공개’ 윤석열 약속 이행 걸림돌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후보 시절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자료 공개'를 약속한 가운데, 윤 당선인 취임 이후 피살 당시 자료가 실제로 공개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퇴임하며 해당 자료를 '대통령기록물'로 지정할 경우 최장 15년간 비공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靑·尹측, 한은 총재 협의 '진실 공방'… 文·尹 회동 성사될까
그동안 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간 고위직 인사권 행사를 둘러싼 갈등이 두 사람 회동 파행의 주요 원인으로 꼽혀왔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의 한은 총재 후보자 지명으로 갈등이 완화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靑 "용산 무리" VS 尹 "반드시 개방"… 집무실 이전에 文·尹 재충돌
청와대는 21일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계획에 대해 "새 정부 출범까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하겠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며 공식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新·舊 충돌에 한발 물러선 文·尹…인사·사면 이견 해소하나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청와대 회동 무산 여파로 신구(新舊) 권력 간 갈등 논란이 일고 있자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측이 한발씩 물러나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이 18일 윤 당선인과 빠른 시일 내에 만나고 싶다고 밝혔다. 이에.. 文·尹 첫 회동 전부터 '삐걱'… 정권 교체기 두달 험로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회동이 16일 무산됐다. 첫 만남 전부터 양측 간 '불협화음'이 감지되면서 두 달여 정부 인수인계 과정에서 험로가 예상된다. 대통령 취임식까지 양측의 대립이 격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문 대통령 "산불 진화 총력… 특별재난지역 선포도 검토" 지시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행정안전부 장관인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으로부터 산불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화재의 조기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라"며 이같이 지시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재인 對 윤석열 대선 구도에… 친문 대 반문 총력전
문재인 대통령이 ‘현 정부 적폐수사’를 언급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향해 "현 정부를 근거없이 적폐로 몬 것에 강력 분노한다"고 격노했다. 이에 따라 대선 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대 윤 후보에서 문 대통령 대 윤 후보 대결로 전환돼 친문 대 반문 총력전 양상이 벌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종전선언 언급 못하고… 남북대화 노력 차기 정부로
"정부는 기회가 된다면 마지막까지 남북관계 정상화와 되돌릴 수 없는 평화의 길을 모색할 것이며, 다음 정부에서도 대화의 노력이 이어지길 바랍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임기 내 마지막 신년사에서 밝힌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해 기존 원론적인 입장을 재확인한 것은 교착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주소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김기현 “공수처, 野의원 단톡방 털어… 文에 면담요청”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30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우리당 의원들 카톡 단톡방도 통째로 털었다"며 "야당 의원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는 공안기구"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