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 보안·기반시설 보안국(CISA)과 국방부, 연방수사국(FBI)이 12일(현지시간), 북한 정부가 이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악성코드의 변종에 대한 분석보고서 3개를 발표했다고 VOA가 보도했다.

CISA는 이 분석보고서에 담겨진 정보가 국토안보부와 국방부, FBI가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물이라면서, 북한 정부 내 사이버 활동 조직이 이용하는 도구와 시설에 대한 기술적인 세부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정보 당국이 북한 악성코드를 추가로 공개한 이날은 미국 정부가 배후로 북한을 지목했던 ‘워너크라이’ 공격이 일어난지 3년이 되는 날이다.

‘워너크라이’는 2017년 5월 12일부터 악성코드를 기반으로 이뤄진 대규모 사이버공격으로, 전세계 100여개 국의 컴퓨터 12만대 이상을 감염시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당시 감염된 컴퓨터에는 20개의 언어로 비트코인을 지급하면 풀어주겠다는 메시지를 띄워, 현금 탈취가 공격의 주 목적임을 드러낸 바 있다.

이후 2017년 말 미국 정부는 ‘워너크라이’의 공격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다.

CISA는 이번 보고서에서 미국 정부는 북한 정부가 행하는 악성적인 사이버 활동을 ‘히든코브라’로 부르고 있다면서, 이번에 새로 공개된 북한 소행의 악성코드의 변종 3종은 ‘카퍼헷지(COPPERHEDGE)’와 ‘테인티드스크라이브(TAINTEDSCRIBE)’, 그리고 ‘페블대시(PEBBLEDASH)’로 지칭했다.

미국의 사이버 보안업체 ‘파이어아이(FireEye)’의 벤 리드 분석관은 "이번에 공개된 악성코드가 획기적인 면은 없지만, 변종을 많이 파악할수록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런 정보가 공개되면 각 기업들이 다양한 변종의 악성코드에 제대로 대비를 하고 있는지 스스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리드 분석관은 또 ‘워너크라이’ 공격이 일어난지 3년이 지나는 동안 북한의 사이버 해킹 수법은 새로운 역량을 추가하며 진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북한이 ‘금융적인 동기’에서 비롯된 활동을 다각화하고 있다는 것"이라 했다.

또 북한 정권이 다양한 조직을 활용해 현금 편취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기관 간 국제결제업무를 하는 스위프트(SWIFT) 전산망을 해킹한다거나 가상화폐를 노리는 행위, 또 현금자동인출기(ATM) 서버를 공격한 사례 등, 해킹을 통해 돈을 버는 수법이 다각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미국 국방부 산하 사이버사령부도 이날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바이러스토털 사이트’에 같은 내용의 북한 악성코드 샘플을 공개하고 위험성을 경고했다.

그러면서 보안 관계자나 일반 사용자들이 바이러스를 검사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사이트에 악성코드 샘플을 올려 많은 사용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폴 나카소네 미 사이버사령관은 올해 3월 의회 청문회에서, 사이버 상에서의 미국을 공격하는 적대국에게는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던 바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한 #북한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