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병원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기독교 영성의 역할』
도서 『병원의 탄생과 발전』

고대 역사 속에서 기독교 문화의 줄기를 찾는 데 탁월함을 보이는 남성현 교수(서울한영대 신학과)가 이번에는 4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병원의 역사를 연구해 책으로 펴냈다. 제목은 『병원의 탄생과 발전』.

이번 책에서 남 교수는 4-5세기 고대 구빈병원과 호스텔병원, 중세 비잔틴 병원과 프랑스병원, 종교개혁 및 그 이후의 병원 발전 등을 상세히 다루면서, 그 가운데 기독교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규명해 낸다. 또 이 모든 병원 역사가 시작될 수 있었던 데에는 기독교의 영향이 지대했음을 밝혀낸다. 

남 교수가 '병원'이라는 주제에 처음 갖게 된 것은 20년 전이다. 한창 박사학위 논문을 쓰면서 수도원에 관한 자료를 보는데, 4세기 바실리오스 주교가 설립한 기독교 병원 '바실레이아스'가 눈에 들어왔다. 그때 그는 "현대 문명의 첨단에 속하는 병원이 단순히 의학, 화학, 생물학 등의 자연과학에 기원을 둔 것이 아니라, 기독교 영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사실에 "가슴 벅찬 감격"을 경험했다고.

병원 연구의 직접적인 촉매제가 된 것은 밀러(Timothy S. Miller)의 역작 『The Birth of the Hospital in the Byzantine Empire』 을 만나면서부터. 이 책에서 밀러는 현대 병원이 19세기 후반에 등장했다는 역사가들의 견해에 맞서서, 4세기 비잔틴 제국에 그 뿌리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4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병원의 통사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책의 3장에서 저자는 역사적으로 병원이 처음으로 설립된 배경에 기독교적 정신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혀낸다. "'고아와 과부의 하나님'이란 구약성경의 표어가 상징하듯, 헤브라이즘은 가난한 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정신을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그리스, 로마 문화는 도시의 번영과 가문의 영예를 위해 기부하는 정신이 체질화됐다. 이 두 문화는 마치 물과 기름 같아 유대교에는 기부 문화가 결여됐고 헬레니즘에는 가난한 자들에 대한 배려가 빈약했다. 기독교 영성은 서로 다른 이 두 정신을 융화해 '가난한 자들을 위한 기부'라는 시대정신을 창조하고 민심 저변으로 확산시켜 나가면서, 기어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병원을 '발명'하고 확산시키기에 이른다."

6세기에는 교회, 수도원 등 기독교적 기관들이 황실, 귀족과 함께 비잔틴 사회의 3대 경제 주체 중 하나로 부상했는데, 이 가운데 수도원의 수도적 영성이 돈의 흐름을 바꾸면서 병원을 발전시키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종교개혁 시기로 넘어가면, 개혁자 마틴 루터는 기독교 복지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중세의 기독교 덕목이었던 '자발적 가난'과 '공로로서의 자선'을 폐기하는 한편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가난한 자들에 대한 돌봄을 기독교 공동체의 시민적 덕목으로 변화시킨 것.

또 루터의 동료였던 부겐하겐은 독일 병원 개혁에 선구자적인 활약을 펼쳤는데, 세례, 조산, 간호, 병원 등 네 가지 요소를 개신교 보건 정책의 핵심으로 삼았고, 여러 도시에서 개신교 보건 개혁의 선봉에 섰다. 이때 천연두 전문병원 같은 특수병원이나 격리 병동의 설립을 주도하면서 병원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긴다.

이번 책에 대해 김옥주 박사(서울대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교수)는 "초기 병원의 역사가 기독교 영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보인 이 책은 현대 의료 제도와 병원이 계승한 것과 잃은 것은 무엇인지 깨닫게 해준다"고 연구의의를 평했다.

저자는 감신대 대학원 졸업 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그대학교 개신교 신학부에서 4~6세기 수도원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간 『고대 기독교 예술사』, 『콘스탄티누스 가문의 기독교적 입법정책 (313-361년)』 등의 책을 펴낸 바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