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문화 창립총회

한국사회는 물질문명 성장 그늘로 인한 가정폭력, 학교폭력, 성폭력, 자살 등 생명의 존엄성을 경시하는 풍조가 만연해 있다.

그러나 생명운동 단체들의 헌신적인 활동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이고 산발적인 소규모 활동으로 인한 생태계 적인 한계가 있으며,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한 자살예방 역량개발, 입법, 예산 확보의 어려움, 정책추진의 전문성 부족 등의 한계로 인해 범사회적 생명문화운동으로의 발전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기존의 생명운동 방식보다 조직적이고 진보된 생명문화운동의 범국민적 전개가 시급한 현실이다.

특히 2012년도 한 해 자살자수 14,160명, 하루 평균 38명이 자살, 특히 10~3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라는 사실은 우리 사회의 생명경시 풍조가 만연되어 있다는 방증이며, 이로 인한 세모녀 자살 사건과 같은 문제가 초래됐다. 생명경시 풍조와 사회공동체 약화로 인한 사회적 돌봄 시스템 장애로 인해 사회적 사각지대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2009~2013년 국가적 차원의 자살예뱅대책으로 '국가 자살예방 5개년 계획'을 수립했지만, 예산확보 실패로 인해 정책 실효성이 없었다. 다행히 2012년 4월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 제정이 이뤄져 중앙 및 지역 자살예방센터 설치와 운영이 진행 중에 있어 한 시름을 놓은 상태다.

세 모녀의 동반자살을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다   ©이동윤 기자

생명존중의 분위기 확산시키고자 '생명문화' 창립

이런 가운데 이념과 종파, 정파를 초월해 생명존중의 분위기가 우리 사회에 확산될 수 있도록 시민, 사회, 종교, 교육, 정부 등 우리사회 모두가 참여하는 생명문화운동이 뿌리내리고, 생명존중의 꽃이 피는 건강하고 행복한 한국사회를 추구하고자 19일(수) 오전 서울YWCA 에서 '생명문화'가 창립됐다.

생명문화는 앞으로 강연, 캠페인, 정책토론회 등을 통한 제도개선, 정책 대안 제시와 생명운동단체 후원 및 지원을 통해 자살예방 운동을 벌여가고, 온오프라인 교육을 통해 생명운동지도자를 양성하며, 대중과 소통을 위한 '생명문화포럼'과 토론회를 실시해 생명문화의 가치 확산과 생명공동체 회복을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생명문화는 생명존중 관련 정책 및 제도개선을 위해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대안 마련과 사회적 확산 ▶베르테르 효과를 조장하는 현재의 자살관련 보도행태 개선 ▶각계 인사들의 참여를 통한 생명운동의 활동 확대 ▶예산 확대와 집행을 위한 대국회 활동 ▶정책 토론회, 설명회 개최를 통한 생명존중의 문화 확산을 다짐했다.

또 생명운동 발전을 위한 지원활동으로는 ▶생명운동 기금 형성 ▶모금액 50% 이상을 타 단체 활동과 사업 지원 ▶생명천사 모집(월5000~1만원을 CMS로 기부하는 사회적 모금운동) ▶유산 기부나 소득 1% 기부운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홍보대사 선정 등이 있으며, 특히 생명운동 지도자 양성을 위해 ▶역량 갖춘 '생명의 씨앗' 지도자 그룹 형성 ▶언론활동 방송강연 기부 등 공중 관계성 활동 ▶생명운동 어머니지도자 양성 ▶방과 후 학교 일일교사 등의 형태로 생명존중 사상이 확산되도록 활동 ▶콘텐츠 개발을 통해 지도자들의 강의나 교육, 언론활동 등을 간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종교, 언론, 교육계 등에 바란다"

생명문화 측은 "정부가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것을 주요 정책 과제로 삼고,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자살예방 정책을 수립해 자살률 저하를 주도해 달라"며 "여러 부처가 힘을 합쳐 국내외에서 효과를 거둔 자살 예방 행정과 정책사례의 확산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2011년 인구 10만 명당 75.5명의 전국 자살률 1위를 기록한 전북 진안군이 적극적인 자살예방사업을 벌여 자살률을 전국에서 가장 낮은 234위로 낮춘 사례는 자치단체 행정의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며 "생명 행정의 중심인 지방자치단체가 생명조례를 만들고, 우울증 선별검사 사업 등 내실있는 사업을 통해 자살률을 실질적으로 낮춰줄 것을 호소한다"고 했다.

생명문화는 국회에게도 "자살예방과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정한 예산의 확보와 자살예방 정책 개발 및 제도 개선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으며, "종교계는 생명공동체의 회복에 더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달라"면서 "신도들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강조해 특별히 교회 성당 사찰이 지역공동체 내에서 가진 의미를 살려 소외된 이웃 특히 어르신들을 보살펴 달라"고 호소했다.

언론계에 대해서는 "자살 관련 보도에 신중을 기해 달라"고 했다. 생명문화는 "자살 보도를 6개월만 하지 않아도 자살률을 반으로 낮출 수 있다고 말하는 전문가들이 있다"면서 "자살을 부추기고 확산할 수도 있는 분별없는 보도 행태와 관행은 근본에서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자살 관련 보도는 극히 제한되어야 하며, 알 권리라는 이름 아래 방조될 수 없다"고 했다.

또 교육계 쪽에는 "생명교육 강화에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생명존중 교육을 각종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고, 정기적인 자살예방교육과 상호 배려와 이해의 공동체 교육을 확대 실시해 달라는 것이다.

생명문화는 의료계 쪽에도 "자살 위험이 높은 사람에 대한 위기개입과 더불어 자살 위험자 및 자살시도자에 대한 관리와 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효과적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생명존중문화확산 #생명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