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김여정 "비핵화 협상은 미국의 희망일 뿐"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의 대북 대화 제의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과거와는 달라진 현재의 정세를 미국이 직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김 부부장이 발표한 담화를 인용해, 미국이 여전히 2018년과 2019년의 인식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북미 간의 만남은 미국 측의 일방적인 희망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김여정 "남북은 더 이상 동족 아냐"... 대화 제의 일축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이자 노동당 부부장인 김여정이 28일 담화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대북 대화 재개 시도에 대해 정면으로 거부 의사를 밝혔다. 김 부부장의 이번 발언은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북한이 새 정부의 대북 정책에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힌 첫 사례다...
  •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기시다, 北과 정상회담 타진 보도에 “알지 못한다”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북한과의 정상회담 의사를 타진했다는 보도에 대해 아직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기시다 총리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조속한 만남을 원한다고 전한 보도에 대한 답변이었다...
  •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北김여정, “상응행동”으로 위협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 완료 보도가 나온 직후, 북한이 대남·대미 경고성 메시지를 잇달아 발신했다. 다음 달 한미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 계기를 마련하려 했던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이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美국무부 "北비핵화 전념… 인권·외교 정책 중심"
    국무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절리나 포터 부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비핵화 정책의 일부로 다루겠느냐는 질문에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인권은 미국의 외교 정책과 국가 안보 목표의 중심"이라고 밝혔다...
  •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김여정 "남북관계 3년 전 봄날 돌아오기 쉽지 않을 것"
    김 부부장은 이날 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개인 담화를 내고 "남조선 당국이 8일부터 우리 공화국을 겨냥한 침략적인 전쟁연습을 강행하는 길에 들어섰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감히 엄중한 도전장을 간도 크게 내민 것"이라고 비난했다...
  • 과거 판문점 평화의 집 회담장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의 모습. ⓒ 뉴시스
    국정원 "김정은, 김여정 통해 위임통치"
    북한은 또 이번 장마철 폭우로 강원도, 황해남북도를 중심으로 큰 홍수 피해를 입었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장기간 국경을 봉쇄하면서 외화난에 직면해 경제가 타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대북전단 살포를 해온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 박상학 대표와 동생 '큰샘' 박정오 대표의 사무실에 대해 경찰이 압수수색을 한 26일 오후 서울 강남구 일원동 박상학의 '자유북한운동연합' 사무실에 경찰이 카메라 가방을 들고 들어가고 있다.
    '대북전단' 압수수색…박상학 "난 계속하겠다"
    경찰은 이날 오전 10시30분께 큰샘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에 먼저 돌입했다. 이 단체 박정오 대표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에는 큰샘 사무실과 차량이 대상으로 기재됐다고 한다. 경찰은 변호사 입회 하에 큰샘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 과거 판문점 평화의 집 회담장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의 모습. ⓒ 뉴시스
    김여정에 악역 맡기고 뒤로 빠진 김정은…전면 등장 언제
    김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대북전단 관련 첫 담화를 시작으로 현 대남 위협 국면을 주도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예고했던 남북 간 통신선 차단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을 그대로 실행하면서 북한 내 2인자 지위를 확고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