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윤 목사는 공군 군목으로 7년 사역한 후 기독교대한감리회 서울남연회 관악서지방 예광교회 담임을 맡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을 손에 들고 있는 최 목사. ⓒ이대웅 기자

“북한구원운동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해방신학’ 아닙니까?”

최상윤 목사(예광교회)는 최근 감신대학원에서 ‘공동체 교회론 모색-L. 보프의 삼위일체론 유비와 다중 개념을 통하여’로 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최 목사는 최근 잇따른 한국교회의 위기를 ‘공동체성 회복’으로 극복하자고 제안했으며, 한국교회가 보수와 진보를 떠나 북한구원운동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제로 손과마음선교회(이사장 최덕순 목사)나 서울기독교청년연합회(대표 최상일 목사) 등에서 북한구원운동을 직·간접적으로 돕고 있다. 다음은 최 목사와의 일문일답.

-공동체 교회론 집필 동기는.

“한국은 원래 공동체적인 의식이 강했지만, 최근 가정부터 시작해 종교나 사회집단 등 여러 공동체들이 해체되고 있다. 높은 자살률도 공동체적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해결하려는 부작용이라 볼 수 있고,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교회도 감리교와 한기총 등 연합체에서 잡음이 생겨나고 있다. 여기에 편승한 안티기독교 세력은 조직화돼 기독교 말살을 실현하려 한다.

이런 위기 속에서 기독교는 외부적으로 이미지를 개선하고 오해를 품과 동시에, 내부적으로 혁신적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 이를 위해 시급한 과제가 바로 공동체성 회복과 강화이다. 그동안 교회 안에 공동체성이 없었다는 게 아니라, 더욱 강화할 신학적 당위성이 요청된다는 말이다.

공동체라는 개념은 결코 좌파 사회주의자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반복음주의자들이나 최근 문제가 된 종북좌파들에 의해 선점당한 것 뿐이다. ‘죄사함의 비밀’이라는 기독교의 핵심 단어를 구원파에서 선점한 것과 비슷한 이치다. 공동체 개념은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성서적·복음적인 핵심 진리이며, 이를 이념적으로 도용하는 세력이 잘못된 것이다. 같은 이치로 종북좌파들도 민족과 인권을 말하지만, 시대착오적 민족론이자 주민들을 굶겨죽이는 김일성·김정일을 추앙함으로써 인권말살을 방조하고 있다. 민족·민중·진보·인권·해방……. 모두가 본래 의미를 회복돼야 할 단어들이다.”

-그렇다면 참된 인권이란 무엇일까.

“인권이야말로 참된 신앙공동체와 사회공동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다. 그러나 분명히 알아야 할 부분은 ‘삼위일체의 반영’으로서 인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 자신 속에 삼위적으로 내재돼 있는 성부적 공동체의 교제를 통한, 성자의 해방적 원리를 통한, 성령의 역동적 다양성을 통한 인권이다.

이러한 삼위일체적 인권은 제도적으로 보장돼야 한다. 노르웨이에서 77명을 총으로 쏴 죽이고도 피해자 유족들을 비웃고 있는 범죄자 브레이빅에게 고작 많아야 22년 구형을 할 수 있는 사회가 바른 것인가? 더구나 그 감옥은 초호화판이라고 들었다. 이것이야말로 정의가 땅에 떨어진 반하나님적 인본주의의 결과다. 한국에서도 판사가 성폭행범을 풀어줬더니 고소한 여인을 32군데 찔러 죽였다. 이는 소위 반삼위일체적 가해자 중심의 인권이다.

하나님의 정의란 공평에 근거하고, 억울한 피해자를 해방적으로 막아내는 것이다. 3백만명을 굶겨 죽이고 1백만명을 정치범수용소에서 죽이고 있는 북한 독재자를 숭모하는 집단이 한국에서 실제 존재하고 있지 않나. 한국교회는 이러한 주체사상 추종세력과 투쟁을 벌여야 한다. 일종의 해방운동이다. 나라를 위한 게 교회를 위한 것 아닌가. ”

▲ 최상윤 목사는 “교회는 항상 불완전하기 때문에, 시대 속에서 주체와 객체, 안과 밖에 대한 해석을 내리고 변화돼야 하며, 변화를 주도하고 변혁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대웅 기자

-논문에서는 가정 공동체부터 시작된 전지구적인 공동체 위기는 자연과학이나 인문학이 아닌, 교회론적 문제라고 지적했는데.

“공동체 파괴 같은 인간성 상실의 문제는 땅의 문제이면서 하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교회 공동체는 하늘과 땅을 잇는 접촉점 아닌가. 하늘의 공동체이지만 땅에 붙어있기 때문에, 교회 공동체는 아직 완성되지 못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영적·사회적으로 동시에 세계를 구원할 주체는 교회 공동체밖에 없다고 본다.

이렇게 변화에 대한 당위성을 갖고 인간과 자연의 화해와 생명 공존을 위한 교회론적 담론을 구성하고자 했다. 이는 바로 공공의 유익을 위한 실천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공동체 신학이다. 교회가 이 공동체 신학을 견고하게 붙잡을 때 사회참여 수준이 높아지고, 사적인 신앙에서 공적·민주적 신앙으로 이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신앙과 문화의 통합, 교회연합과 도덕성 유지, 시민사회와 생태계의 공동선을 위한 책임적·수평적·소통적 공동체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건 교회 뿐이다.”

-공동체를 강조하다 보면 민족주의나 편협성으로 빠지기 쉬울텐데.

“이제 단일민족의 환상에서 깨어날 때가 됐다. 한국은 이미 다문화국가가 됐고, 이는 가속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허구적인 단일론을 버리고, 이제 삼위일체론적 공동체성을 가진 민족주의와 한국적 상생이념을 붙들어야 한다. 이때 ‘다중(多衆)’의 단일화 개념을 잘 포착해야 하는데, 이는 ‘민중(民衆)’이라는 편협한 당파성에서 벗어나 세계 민주주의와 평등, 다민족·다인종 긍정, 다양한 신념체계에 대한 수용적 가치를 지지하는 삼위일체적 가치이다. 삼위일체적 가치는 생명과 복지, 소통 등 최근 이슈인 세 가지 담론을 취합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왜곡된 진보를 교정하고, 공동체의 진보를 붙잡는 교회론이라고 생각하면 되나.

“그렇다. 본래 공동체의 진보는 역사적 예수의 공동체성에도 극명하게 드러나고, 초대교회의 삼위일체적 삶 속에서도 드러난다. 이를 역사 속에서 존 웨슬리나 라틴아메리카의 보프 같은 신학자들이 구현해내려 애썼던 것이다. 그들은 성경적 해방 공동체의 제대로 된 진보를 붙들었고 실천했다. 이를테면 그들은 마귀적 억압에서 풀려나는 노예 해방을 지지하는 등 참된 인권과 인간화를 구현했다. 특히 웨슬리는 복음전파와 말씀증거, 기도와 사회사업과 사회해방을 변증법적·통전적으로 구현해내 삼위일체적 공동체를 만들었다.

이러한 신앙적인 해방 실천을 한국교회 전체가 제대로 이해할 때 비뚤어진 정치적 시각과 인권론을 뛰어넘어 북한구원운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북한구원운동에 앞장서는 ‘생명 공동체’는 우파도 좌파도 아니다. 오직 애국애족의 삼위일체 공동체다. 이런 바른 신앙적·신학적 인식을 토대로 시대 변화 속에서 새롭게 탄생하는 미래 공동체 교회를 구성하고 실천해야 한다. 그러면 공동체성을 잃어버린 교회와 사회, 나아가 국제사회와 생태계까지 회복시키고 남북한 생명 회복에 기여할 것이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해방신학 #북한구원운동 #최상윤 #예광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