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 김종엽 기자] 지난해 산업생산 증가율이 1%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공업 생산 증가율은 0%대에 불과해 저성장 기조가 굳어지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전문가들로 부터 나오고 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해 전체 산업생산은 전년보다 1.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체 산업생산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이래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이를 다른 해와 비교해 보면 전년 대비 전체 산업생산 증가율은 2001년 4.4%를 기록하고 이듬해 8.4%로 뛰어오른 뒤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2년 1.2%, 2013년 1.6%에 이어 지난해에는 1.1%에 까지 이른 것.

통계청은 지난해 서비스업, 공공행정 등이 전년보다 늘었지만 건설업이 줄어든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전백근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지난해 경기가 전체적으로 안 좋았던 것이 전체 산업생산의 낮은 증가율로 이어졌다"며 "세월호 사고, 자동차업계 파업 등 비정기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 광공업생산의 전년 대비 증감률은 0%를 기록했다. 자세히 보면 지난해 광공업 생산은 기타운송장비, 영상음향통신 등에서 감소했지만 자동차, 1차금속 등이 늘어 전년 대비 증감률이 0%를 기록했다.

지난해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6.0%를 기록해 전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서비스업생산은 예술·스포츠·여가, 도소매 등에서 감소했으나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부동산·임대 등에서 늘어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지난해 소매판매액지수는 의복 등 준내구재는 감소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늘어 전년보다 1.6% 상승했다.

설비투자는 전기기기 및 장치, 기타운송장비 등에서 감소했지만 자동차, 특수 산업용기계 등에서 투자가 늘어 전년보다 4.6% 증가했다.

지난해 12월의 경우 광공업생산은 영상음향통신(-8.6%), 기타운송장비(-3.5%) 등에서 감소했지만 자동차(6.3%), 반도체 및 부품(4.4%) 등이 늘어 전월보다 3.0%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의복 등 준내구재(5.9%),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3.2%) 판매가 늘어 전월보다 2.2%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일반기계류 등에서 감소했지만 자동차, 전기 및 전자기기 등에서 투자가 늘어 전월보다 1.7% 증가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공사 실적 감소로 전월대비 0.8% 감소했고, 전년 동월대비로도 토목공사 실적이 줄어든 탓에 3.2% 떨어졌다. 향후 건설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건설수주(경상)는 신규주택과 철도·궤도 등에서 증가했으나, 공장·창고, 사무실 등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 동월 대비 3.3% 감소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난해 12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3%포인트 상승했고, 앞으로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올랐다.

이에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사실상 일본식 저성장 구조에 진입했다고 우려하며 긍정적 신호로만 해석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인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최근 저성장 구조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한국경제가 일본형 저성장 구조에 들어간 것 같다"면서 "OECD가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2022년부터 2%대로 떨어진다고 했는데, 내 견해로도 그럴 것 같다"고 말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도 "유가 하락이 긍정적인 효과이지만, 이 때문에 불확실성도 크다"고 전했다.

반면 기획재정부는 12월 산업생산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인데다 광공업생산도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 및 부품 등이 늘어나 전월보다 3.0% 증가한 점들을 들어 "주요지표 개선세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올해 1분기에는 소비와 투자 등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확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산업생산 #통계청. #기획재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