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으로부터 금융 혜택을 받지 못하는 서민들이 은행이 아닌 캐피탈,대부업체로 몰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의 대출 차별을 조사해야한다는 지적이다.

8일 금융감독원이 발간한 '금융감독연구'라는 책자에서 가구의 계층별 특성에 따른 은행 접근성을 분석한 보고서를 쓴 건국대 국제무역학과 최필선(부교수)·권정현 연구팀은 담보대출에서 소득 최하위 20%의 비은행대출 비율은 54.0%에 달해 전체 가구 평균(22.1%)의 2배를 넘었다고 밝혔다. 반면 소득 최상위 20%의 비은행대출 비율은 15.5%에 불과했다.

소득 최하위 20%는 전체 대출의 절반 이상을 비은행 금융기관에 의존하는 데 반해 소득 최상위 20%는 전체 대출의 85%가량은 은행에서 혜택을 보았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지난 2012년 금감원과 한은, 통계청이 실시한 가계금융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했다.

특히 가구주가 임시직이나 일용직 근로자가 상용 근로자보다 비은행 대출 비중이 두배가량 많은 30.1%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거주자의 비은행대출 비율이 30.0%로, 수도권 14.5%의 2배를 넘었다.

신용대출에서도 소득 하위 계층과 임시·일용근로자, 초등학교 이하 학력 소지자가 소득 상위 계층과 상용근로자, 대학교 이상 학력자보다 비은행대출 비율이 높았다.

연구팀은 "회귀분석을 통해 가계의 재무건전성(위험도)을 같게 놓고 비교해도 소득이나 교육수준, 아파트보유 여부, 수도권거주 여부에 따라 은행권 대출 비율이 달라졌다."며 "단정할 수 없지만 대출 차별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금융감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