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그룹이 계열사 상장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로서 내부사정을 주주들에게 공개해야하는 규제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수가 있는 40개 대기업집단의 계열사 1천418개 중 상장사는 15.4%인 218개에 그쳤다. 나머지 1천200개는 비상장사다.

전체 계열사에서 차지하는 상장사 비율이 가장 큰 곳은 한솔그룹으로 계열사 21곳 중 52.4%인 11곳이 상장사다. 그 다음으로 한진중공업(33.3%), OCI(28.0%), 두산(27.3%), 영풍(27.3%), 신세계(25.9%), 동국제강(25.0%), 삼성(22.7%), KCC(22.2%), 아모레퍼시픽(20.0%) 순이다.

또 미래에셋(6.9%), 삼천리(7.1%), 교보생명보험(7.7%), 대성(7.8%), 이랜드(8.3%), 태광(8.8%), 태영(9.1%), 한라(9.1%) 등도 상장 비율이 낮았다. 부영은 계열사 14곳은 모두 비상장사다.

회사가 기업공개(IPO)를 통해 상장이 되면 투자자들이 주식을 믿고 거래할 수 있고 회사는 은행 등에서 돈을 빌리지 않고 증자,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대신 회사는 사업보고서 공시 등을 통해 투자자에게 회사 내부 사정을 자세히 설명해야 하고 규제를 받기 때문에 비상장사로 남으려는 경향이 많다.

상장사보다는 주주 감시가 소홀할 수밖에 없는 비상장 계열사를 통해 총수 일가에게 고액 배당을 하는 곳도 있었다. 실제로 부영그룹 비상장사인 광영토건은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과 장남 이성훈 전무에게 이 회사 순이익의 13배인 100억원을 배당했다.

또한, 일부 재벌그룹들은 비상장 회사들을 계열사로 편입해 문어발식 확장에 나서고 내부거래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김갑래 자본시자연구원 기업정책실장은 "기업들의 투명성을 높이려면 공시를 더욱 강화하고 시장 투자자인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가 실질적인 감시 활동을 벌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요건은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상장주식 수 100만주 이상, 일반주주 1천명 이상이어야 하고 코스닥시장은 설립 3년 이상, 자기자본 30억원 이상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재벌 #상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