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택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2014년 1/4분기 실질국내총생산 속보치를 발표하고 있다. 올해 1/4분기 경제 성장률은 전기 대비 0.9%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대비로는 3.9%성장해 3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14.04.24.   ©뉴시스

지난해 대비 1분기 우리나라 GDP 성장률이 3년 만에 4% 근접한 수치를 나타났다. 민간소비는 위축됐지만 수출증가세와 건설투자가 큰 푹으로 늘며 성장률을 견인했다는 평이다.

한국은행은 24일, 실질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3.9%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3.7%를 기록한 지난해 4분기를 넘어선 수치다. 직전 분기보다는 0.9% 성장했다.

GDP는 2011년 1분기 4.9% 성장을 기록한 뒤 줄곧 내리막을 보였다. 2012년 3분기부터 3분기 연속 2.1% 성장을 나타내며 횡보를 기록하다가 2013년 2분기부터 2.7%, 3.4%, 3.7%, 3.9% 등 성장률이 완만하게 상승곡선을 타고 있다.

하지만, 직전분기 대비 성장률은 0.9%로 경기회복 속도가 더디다는 분석이 있다. 직전 분기대비 성장률은 2011년부터 2013년 1분기까지 0%대를 나타다가 지난해 3분기 1.1%를 달성한 뒤 4분기와 올 1분기 모두 0.9%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다. 더뎌진 경기회복 속도에 세월호 여파가 겹치면서 2분기 전망을 비관적으로 보는 분석이 있다. 한은은 "성장 전망 경로 범위에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하며 "세월호 참사에 따른 내수에 미치는 영향을 아직 따져보지는 못했지만 2분기 추계를 하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되는 영향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의 소폭 악화로 작년 4분기 0.8%에서 올해 1분기 0.7%로 둔화되며 세 분기 연속 둔화세를 보였다.

이같은 1분기 성장률은 1분기 성장률은 민간소비 증가는 둔화하고 설비투자는 감소했지만 수출 증가세가 지속한데다 건설투자와 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큰 폭으로 늘어난 데에 힘입었다.

1분기 민간소비는 연말정산으로 추가 납부액이 늘면서 가계소득이 줄어든 영향으로 작년 대비 줄어들었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이 호조를 보였고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민간부문의 연구개발(R&D) 투자를 중심으로 늘었다. 민간소비 증가율(0.6%→0.3%)이 전 분기보다 낮아지고 설비투자가 감소(5.6%→-1.3%)했으나 건설투자(-5.2%→4.8%) 및 지식생산물투자(1.8%→7.5%)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경제활동별로는 농림어업이 양돈과 육우 사육두수 축소 등으로 4.3% 감소세로 돌아섰다. 제조업은 전기 및 전자기기, 금속제품, 석유제품 등이 늘어나면서 2.1% 증가했고 전기가스수도사업은 난방용 수요가 줄어 4.5% 떨어졌다.

수출은 전기 및 전자기기, 석유제품 등이 늘어 1.7% 증가했으나 수입은 기계류, 화학제품 등이 줄어 0.5% 감소했다. 내수와 직결된 서비스업은 0.6% 증가했으나 직전 분기 증가율(0.8%)에는 못 미쳤다. 음식숙박은 부진했지만 보건 및 사회복지, 운수 및 보관 등이 늘어 0.6% 증가했다. 이에 비해 전기가스수도업은 난방수요 감소로 4.5% 줄었고 농림어업(-4.3%)도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은 1분기 내수의 경우 위축이 아닌 내수와 수출이 동반 견인한 것으로 보고 세계 경제가 호전되는 점 등을 고려하면 전망을 따라가고 있다고 예상했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재고를 제외한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1.1%, 수출은 0.9%여서 내수와 수출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을 동반 견인했다"며 "4월에 발표한 경제전망이 유효하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분기 최종월의 일부 실적치 자료를 이용하지 못해 추후 GDP 잠정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경제의 성장이 예상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있는 만큼 올해 경제 성장률이 4%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있다. 한은 발표한 4월 경제전망에서 지난해 대비 GDP 성장률이 올해 상반기 3.9%, 하반기 4.0%로 연간 4.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GDP #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