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한 원팀코리아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y)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예방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한 원팀코리아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y)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예방했다. ©국토부

정부가 민관합동으로 우크라이나 현지를 직접 방문하는 등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 협력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약 5000억달러(676조원) 이상의 초대형 프로젝트로 예상되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서 우리 기업도 최대 520억달러(약 70조원)의 사업 기회를 얻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민관합동 '원팀코리아'는 지난 13~14일 이틀 간 우크라이나 현지를 직접 방문했다. 이곳에서 한국대표단은 우크라이나 정부와 공동으로 '한국-우크라이나 재건협력포럼'을 개최하고, 양국 정부가 협력해 중점 추진할 '6대 선도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양측이 발표한 6대 선도 프로젝트는 ▲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우만 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 ▲부차 시 하수처리시설 ▲카호우카 댐 재건지원 ▲철도노선 고속화(키이우~폴란드 등)다.

우선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수도 키이우 시를 둘러싼 키이우 지역에 대한 '스마트 교통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다. 전쟁으로 파괴된 교통시설을 스마트·저탄소 기반의 모빌리티 인프라로 복구하기 위한 광역교통망 및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교통망과 이어지는 주요 지역에 대한 복합개발방안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수도인 키이우 시와 인근 키이우 주를 망라한 핵심 교통사업을 발굴하고 우리 기업의 사업 참여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 KIND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우크라이나 중부 우만 시에 대해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예정이다. 우만 시를 스마트도시로 재건하기 위해 모빌리티, 재난재해 대응, 친환경에너지 등을 포함한 스마트 도시기반시설 및 솔루션 계획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공항공사에서는 우크라이나 최대 국제공항인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인프라부에 따르면 보리스필 공항은 전후 우크라이나 항공수요의 약 80%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으로, 시스템 현대화부터 안전관련 시설정비, 활주로 정비·확장 등 운영부터 인프라 정비까지 아우르는 종합계획 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키이우 인근 부차 시에 대한 '하수처리시설 재건'을 지원할 계획이다. 해당 시설은 지역 주민들의 쾌적한 생활 환경 마련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설치방안 마련을 위한 계획수립을 지원할 예정이다.

여기에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6월 파괴된 헤르손 주 '카호우카 댐 복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카호우카 댐 붕괴로 하류 대규모 침수, 물 공급 차질, 수력발전 중단 등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자 우크라이나 정부도 지난 7월 재건 추진방향을 마련하는 등 복구를 서두르는 상황으로, 한국 또한 댐 및 발전소 재건을 위한 기술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국가철도공단 등은 우크라이나 주요 철도노선의 고속화 및 개선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간 우크라이나는 화상회의 및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장관회의 등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철도 인프라 및 운영 노하우 등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여왔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측이 제안한 주요 노선(키이우~폴란드 국경 등)에 대해 사업계획 수립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러한 6대 선도 프로젝트는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계획수립 및 타당성 조사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우크라이나는 한국이 수립하는 계획 및 표준을 활용해 후속 인프라 사업을 추진, 우리 기업 참여가 활성화되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한국이 본격적으로 참여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최대 520억달러 수준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이 지난 14일 발표한 '채워지는 반등의 조건-재건시장' 리포트에 인용된 세계은행·EU·UN·우크라이나 정부 등 공동조사단의 3월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2월 전쟁 발발 후 1년 간 우크라이나의 인프라 직접 피해 규모는 1347억달러에 달하며, 2033년까지 향후 10년 간 전후 복구에 필요한 비용은 약 4106억달러로 추산된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전쟁이 장기화될수록 복구비용은 더 확대되는데, 실제로 보고서 발표 이후 발생한 카호우카 댐 붕괴 등을 감안하면 재건비용은 이미 5000억 달러를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추정된 복구비용은 운송(921억달러), 주택(686억달러), 에너지 및 자원채굴(470억달러) 부문이 전체 복구비용의 51%로 가장 크며, 사회보장, 폭발물 위험 관리, 농업 등이 그 뒤를 잇는다.

시기별로는 단기적(2023~2026)으로 필요한 비용이 1280억달러(전체의 31%), 중장기적(2027∼2033)으로 소요되는 비용이 2826억달러일 것으로 추정됐다.

리포트에 따르면 이중 우리나라 정부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우리 기업이 참여할 기회를 잠정적으로 520억달러(한화 약 66조원)로 추산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한국 정부에 제안한 약 200억달러(약25조4000억원) 규모의 5000개 재건 사업리스트와 민간 차원에서 추진 중인 320억달러(약 40조6000억원, SMR 소형원전·공항 재건·건설기계·철도차량·IT 분야 등) 규모의 10개 사업을 합친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국내 건설사가 수혜를 받을 분야는 크게 운송, 에너지, 모듈러 건축 부문이다. 운송·에너지 분야 예산만 해도 약 1400억달러 수준에 달한다"면서도 "다만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단우드, 엘리먼츠) 등이 진출을 검토 중인 모듈러 건축은 건설사보다 건축자재 업체의 수혜가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시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크라이나 #대한민국 #우크라이나재건 #우크라재건 #우크라재건사업 #기독일보 #기독일간지 #기독일간지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