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승절 초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는 가운데, 시진핑 부부 양 옆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위원장이 가장 옆에 위치해 있다. ⓒ현지 영상 캡처
    북·중·러 정상, 전승절 열병식서 나란히 등장… 서방 견제 구도 부각
    3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나란히 모습을 드러냈다. 세 정상의 공동 등장은 냉전 종식 이후 처음으로, 한미일과 북중러의 대립 구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으로 해석된다...
  •  10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한 정권수립 76주년 기념일(9·9절)을 맞아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당.정 간부들을 만나 축하하고 연설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노동신문 캡처. ⓒ뉴시스
    김정은, 러시아 전승절 행사 참석 가능성… 북러중 삼각 연대 주목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수개월 내 러시아를 공식 방문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북러중 3국의 외교 전략과 정세 변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 러시아 대통령궁 소식을 인용해 김 위원장의 방러 계획이 외교 채널을 통해 조율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2년 마드리드 이페마(IFEMA)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한미일·북중러 대결 구도 뚜렷… 尹외교 '시험대'
    북한의 핵 무력 고도화에 더해 윤석열 정부의 가치동맹 기조를 확고히 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는 한·미·일과 북·중·러 간 대립 구도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새로운 냉전체제가 구축되는 가운데 윤석열 정부의 외교가 시험대에 오른 모양새다. 북핵을 둘러싼 양 진영 간 군사적 대결은 물론이고 공급망을 둘러싼 두 진영간 경제적 마찰도 심화될 것으로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