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 윤근일 기자] 정부가 양적성장을 이뤘지만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는 국내 데이터 산업 육성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제3회 정보통신 전략위원회에 '데이터 산업 발전전략'을 상정해 의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고품질 데이터 생산과 개방을 지원하고 국내 기업의 데이터 관련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등 데이터를 통한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이 핵심이다.

우선 미래부는 고품질 데이터 생산과 개방에 나선다. 분야별 활용도가 높은 '기초 핵심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해 데이터 통신기술인 '비콘', 3D, 차세대 데이터 공유 기술인 'LOD' 등 신기술이 접목되는 '미래형 DB'를 확충하기로 했다. 또 민간 데이터 품질 진단 시장을 활성화 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국내 기업의 데이터 관련 기술 경쟁력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데이터 기반·응용·틈새 기술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소프트웨어(SW), 콘텐츠 등으로 흩어진 데이터 관련 연구개발(R&D) 역량을 하나로 모은다. 국내 데이터 기업의 중국, 인도, 멕시코, 케냐 등 해외 진출도 지원한다. 데이터 유통 촉진에도 힘을 싣는다. 국내 민간 개방용 데이터를 한 곳에서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거래소'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미래부는 데이터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 침해, 보안 사고 방지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비식별화 R&D' 같은 데이터 보안 관련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사이버 데이터 클리어링 센터' 등 전문가 중심 법률 자문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데이터 활용 붐 조성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산업 빅데이터 프로젝트 '등대(lighthouse)', '스마트 챌린지' 프로젝트 등 시범 사업을 추진해 수요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기준으로 국내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는 12조원, 사업자 수도 3500개에 달한다. 반면 매출 10억원 미만의 기업은 전체의 60%에 육박해 질적 성장 지원이 요구돼왔다.

강성주 미래부 정보화전략국장은 "무한 자원인 데이터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부가가치 창출의 핵심자산이 될 것"이라며 "지난 20여년 간 정보화의 성과로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초연결 시대에 걸맞는 '데이터 초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미래창조과학부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