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의 조사에서 중소기업의 인력구조가 점점 고령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난에도 20대 청년층은 10%대에 불과했다.

20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해 5우러 전국 7천여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대 인력 비율은 12%로 2002년 22.2%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30대 비율도 이 기간 33.4%에서 31%로 감소했다.

40대(29.8%→33.4%)와 50대(11.5%→19.9%), 60대 이상(2.9%→3.6%) 인력 비율은 증가세를 보여 중장년층으 비율이 크게 늘어남을 보여줬다. 전현호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은 "청년층이 직업 안정성이나 근무 여건 등을 이유로 중소기업 취업을 꺼리는 반면 고령화로 인구 비율이 높아진 중장년층은 은퇴 후 중소기업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20대 젊은층이 많이 일하고 있는 분야는 정보기술(IT)·의료였다. 전자·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17%), 의료·정밀·광학기기·시계(16%), 의료용물질·의약품(15.1%), 의복·의복 액세서리·모피(14.5%) 등의 순이었다.

50대 이상 장년층은 식료품(38.1%), 가죽·가방·신발(37.6%), 음료(36.2%), 목재·나무제품(33.4%), 펄프·종이 제품(31.5%), 코크스·연탄·석유 정제품(30.6%) 업종에서 주로 활동하며 제조업에서 30% 이상 비중을 보였다.

청년층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대기업과 공무원 등 안정적인 직업을 원하기 때문이다. 불안한 고용 안성정과 열악한 근로조건을 가진 중소, 중견기업에는 청년들이 지원하지 않는다.

정부가 집계한 청년 실업자는 공식적으로 34만명이다. 일자리가 없어서 공무원 시험에 몰두하는 청년들까지 합치면 실제적인 청년실업자는 100만명이 넘는다는 조사도 있다.

고용노동부가 조사한 중소기업의 부족인력은 24만6천명으로 부족률은 3.3%다. 이는 대기업의 인력부족률 1.2%의 2.8배 거의 3배에 달한다.

정부는 지난 15일, 교육부와 고용노동부 등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스위스식 도제교육을 도입하며, 고교 졸업 이후 바로 취업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직업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의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거기에 군입대나 임신 등 경력단절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전역이나 출산 후 복직하면 장려금을 주도록 했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대기업과의 임금차이 있어 경력을 쌓으면 바로 대기업으로 빠지려 하는 풍토가 있다. 중소기업의 평균 임금은 90년대 초반만 해도 대기업의 70%였는데 2011년에는 53%수준으로 낮아졌다. 정부는 근속 장려금 3백만원을 약속했지만 이 금액으로 중소기업에 근속할 사람이 없다는게 문제다.

전 실장은 "제도 보완을 통해 청년들의 중소기업 기피를 해결하고, 강소기업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등 청년 인력 부조화를 해결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정부 혼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의견이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조금만 커져도 대표가 회장직함을 달고 대기업 사장급 급여를 받으며 살지만 직원들에게는 낮은 임금을 강요하며 시설투자에 소극적이다. 거기에 가업 승계를 이유로 대학교를 졸업한 자녀나 친인척을 부장급 이상으로 앉히는 경우가 많아 청년들이 자신의 인생을 걸고 중소기업을 다니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기업들이 번 돈을 기업에 투자하고 성공의 과실을 직원들과 나누는데 적극적인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중소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