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공계 인재들의 국내 취업 기피가 국가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은 지난해 한국의 두뇌유출(Brain Drain) 지수가 4.63으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IMD가 고안한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고국을 떠나 해외에서 근무하는 인재가 많아 국가경제 피해가 심하고, 반대로 10에 가까울수록 인재가 대부분 고국에서 활동해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뜻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조사 대상 60개국 중 두뇌유출이 가장 적은 나라는 노르웨이로 지수 8.04, 2위는 스위스의 7.6, 3위는 스웨덴 7.51, 4위는 핀란드 7.28, 5위는 미국 7.11 순이었다.

이에비해 한국은 4.63으로 37위로 조사됐다.

한국은 2011년에는 59개국 중 44위(3.68), 2012년에는 59개국 중 49위(3.40)를 차지해 지난해 순위 37위는 그나마 상승한 셈이다.

  ©뉴시스

IMD의 이런 조사 결과는 한국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세계 최상위권인 것을 고려하면 다소 의외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2012년 한국의 총 연구개발비용은 492억달러(55조4천501억원)로 미국(4천152억달러), 일본(1천998억달러), 중국(1천344억달러), 독일(1천39억달러), 프랑스(624억달러)에 이어 세계 6위였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도 4.36%로 이스라엘(4.38%)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그럼에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국내에서 일하는 이공계 박사 1천4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7.2%는 해외 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부족한 연구 환경'이 52.3%, '자녀교육' 14.0%, '외국 정착'7.8%, '임금 수준' 6.4% 등 이었다.

한편 2010년 기준 한국 내 이공계 박사 학위자의 평균 연봉은 6천881만원으로, 미국 내 박사 평균 9천317만원(달러당 1,156원으로 계산)의 74% 수준이다.

미국과학재단(NSF)의 2008년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 과학기술보건 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한국인은 44%만 한국으로 돌아갔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이공계두뇌유출 #두뇌유출 #인재 #인재육성 #연구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