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해 수사를 의뢰한 11명에 대해 경찰이 조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수사 기록을 검토하며 관할권 여부를 확인한 뒤 절차에 따라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경기남부경찰청은 1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7일 선관위의 수사 의뢰 공문을 접수해 검토하고 있다"며 "관할권 여부 등을 확인한 후 수사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관위, 고위직 자녀 특혜 채용 10명 수사의뢰… 자체 감사 착수
선관위는 이날 언론에 배포한 공지를 통해 "직무에서 배제된 고위직 자녀 채용 당사자 10명에 대해 수사의뢰를 진행할 예정이며, 감사원 감사로 중단됐던 채용 당사자 10명에 대해서도 자체 감사를 재개해 임용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선관위원장, 특혜 채용 논란에 대국민 사과… 외부통제 방안 검토 약속
노 위원장은 이날 발표한 사과문에서 "선관위원장으로서 통렬한 반성과 함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이번 사건으로 선관위에 대한 국민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선관위의 조직 운영에 대한 불신이 선거 과정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선관위, 감사원 지적 관련 공식 사과 및 개혁 조치 발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감사원의 직무 감찰을 통해 지적된 고위직 자녀 경력채용 특혜와 복무기강 해이 문제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선관위는 4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감사원의 직무 감찰이 종료되지 않아 징계 절차가 중단된 직원들도 관련 규정에 따라 신속하고 엄중하게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야, 선관위 비리 의혹 두고 충돌… 개혁 방향 놓고 극명한 입장 차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채용 비리와 사무총장의 세컨드폰 논란을 둘러싸고 여야가 서로 다른 해법을 제시하며 대립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선관위의 신뢰 회복을 위해 특별감찰관 도입과 사전투표제 폐지를 추진하는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감사원의 선관위 감사를 배제하는 법안을 발의하며 특별감찰관 도입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선관위 고위직의 자녀·친인척 부정 채용… 감사원 "지연과 근무연 악용"
감사원이 적발한 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 고위직 자녀 및 친인척 채용 비리는 지연(地緣)과 근무연(함께 근무한 인연)을 이용해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연고지를 기반으로 형성된 인맥을 통해 자녀 및 친인척 채용을 청탁하거나 지시했고, 이에 후배 공무원들이 호응하는 형태였다. 이에 따라 조직 내부에서는 파일 조작과 문서 파쇄를 통해 외부 감시를 피하려 했으며, 일부 직원들은 이를 매뉴얼처.. 김세환 전 선관위 사무총장, '세컨드폰' 사용 논란… 감사원 "사적 이용 정황"
김세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사무총장이 2022년 초 선관위 명의로 개통한 휴대전화를 사용해 정치인들과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감사원의 감사 결과가 공개됐다. 감사원은 김 전 총장이 해당 휴대전화를 ‘세컨드폰’으로 활용한 정황이 있다고 판단하며, 사적 사용 가능성을 제기했다... 국민의힘, 헌재의 감사원 선관위 감사 위헌 결정에 강한 반발
국민의힘은 27일 헌법재판소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자녀 특혜 채용 등 인력 관리 실태에 대한 감사원의 직무 감찰이 위헌이라고 결정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판결로 선관위를 감사할 수 있는 기관이 사라지면서, 각종 부정부패 의혹을 받아온 선관위의 폐쇄성이 더욱 심화됐다"고 비판했다... 감사원, 선관위 특혜채용 의혹 확인…1200여건 규정 위반
감사원은 30일 헌법기관인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특혜채용 의혹을 확인하고, 규정 위반 건수가 1200여 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감사원에 따르면 2013년 이후 선관위 경력경쟁채용 과정에서 중앙선관위 124회 400여 건, 지역선관위 167회 800여 건 등 총 1200여 건의 규정 위반 사례가 적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