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 박성민 기자] 지난 3일 한화케미칼 울산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6명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또 한번 안전사고로 목숨을 잃는 상황이 발생해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다.

사고 당시, 폐수처리장 시설 확충을 위해 저장조 상부의 배관을 설치하는 작업 중이었다. 사고는 저장조 내 메탄가스가 새어 나와 용접 불티와 접촉해 폭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회사측은 현장 주변의 인화성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작업자들의 안전 장구도 확인했다고 했지만, 정작 폭발 위험성이 있는 콘크리트로 밀폐된 저장조 내부 가스는 측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케미칼 울산공장은 인화성이 높은 PVC(폴리염화비닐) 생산공장임에도 작업을 하기 전에 저장조 안의 가스 농도 측정을 하지 않았을 정도로 안전의식이 낮았다.

습관적으로 위험을 간과해 온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또 한번의 인재(人災)였던 것이다. 인재성 사고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안전에 대한 의식은 여전히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안전을 필수요소가 아닌 비용적 측면을 고려한 선택 사항으로 후 순위에 둔 성장위주의 경제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한 기업의 행태가 또 다시 드러난 것이다. 위험요인이 많은 사업장이라면 더 안전해야하는데 오히려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치유가 불가능한 것인가"하는 자괴감을 갖게 된다.

"이같은 후진적 안전사고가 언제까지 나올 것인지, 운명(?)처럼 받아들어야 할 '현실'로 인식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에 까지 미치게 되는 절망적 상황을 보게 된다.

고용노동부는 폭발사고가 난 한화케미칼에 대해 전면 작업중지와 종합 진단명령을 내렸다.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도 합동감식을 벌이고 회사 환경안전팀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사고발생에서부터 사후 조치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조사하고 있다.

많은 이들의 이같은 안전불감증에 대해 '외주화'를 원인으로 꼽고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안전사고 피해자는 협력업체 직원들이었다. 기업마다 비용 절감 차원에서 상당부분을 외주업체에 맡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험한 작업은 외주화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산재사고의 희생자 대부분은 비정규직이나 하청·협력업체 직원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대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이유로 대부분 최저가 입찰을 한다. 그렇다 보니 외주업체들은 숙련된 인력을 쓸 수 없고, 작업 이해도가 떨어지는 저임금 근로자나 심지어 일용직에게 맡기게 된다. 안전사고에 당연히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사고가 나면 협력업체에 책임을 떠넘긴다.

이같은 점이 안전사고의 위험을 키워왔다는 지적이다. 악순환 반복의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하청업체에서 일어난 산업재해도 원청업체에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지켜볼 일이다.

이같은 사고를 끊을 수 있는건 무엇일까? 적정가 낙찰제 확립, 위험 작업에 대한 숙련 인력 및 전문기업 양성, 기업 내 안전관리자 확보 등이다.

바로 안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문화의 확립이다. 그렇지 않고는 이같은 인재는 끊이지 않고 그저 계속 반복될 것이다. 말 그대로 '그때 뿐'이 될 것이다. 이것도 안되면 결국 외부의 강한 규제 밖에는 답이 없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화케미칼 #한화케미칼울산공장 #한화케미칼울산공장폭발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