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산업혁명 알파고 이세돌
    다가온 4차 산업혁명시대, 그리스도인에게 무엇인가
    경제학자이자 저명한 미래학자라는 국내 한 전문가의 미래 예측 저술을 살펴보았다. 출간 4개월 만에 20판을 넘긴 대단한 베스트셀러였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미래를 예측한 그 책 안에 4차 산업혁명이나 인공 지능과 같은 언급은 전혀 없었다는 사실이다. 겨우 12여 년 전에 나왔던 이 베스트셀러의 현실이 바로 미래에 대한 우리 조국의 둔감한 현실을 말해준다...
  •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창조신학칼럼] 세상 창조에 대한 오리겐의 관점
    오리겐 당시 신학자들은 많지 않았다. 필로나 순교자 저스틴 그리고 오리겐의 스승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등이 잘 알려진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들 초대 교회 신학자들은 물질의 기원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가지고 있지 않고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필로는 하나님께서 물질을 창조하시기..
  • 이스라엘의 상징 다윗의 별. 이스라엘이 12지파로 되어 있음에도, 오늘날 이스라엘은 주로 유대 지파 다윗의 별을 상징으로 삼고 있다.
    르우벤·시므온·레위, '장자 권한' 버렸나·잃었나?
    창세기 49장에는 성경 최초의 본격적 예언이 등장한다. 아들들을 향한 야곱(이스라엘)의 예언이었다. 야곱은 유언을 남기고자 아들들을 소집한다(창 49: 12). 그리고 성령의 감동으로 야곱은 자녀들에게 장래에 일어날 일들에 대해 말하기 시작한다(창 49: 2-28)...
  •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창조신학칼럼] 수용과 부정으로 갈라진 진화론에 대한 복음주의의 두 관점
    복음주의는 역사 속에서 다윈의 진화론 문제에 어떻게 반응하였는지 조금 더 살펴보자. 19세기 미국 복음주의자들은 신학자와 적절히 훈련받은 평신도는 가장 중요한 현대 과학의 결과를 성경에 대한 전통적 해석과 조화시켜야 한다고 여겨왔다. 또한 복음주의 지도자들 일부는 과학적 결론을 전통적 기독교 신앙의 변증이 될 수 있는지를 입증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복음주의자들은 보통..
  • 16세기 종교개혁자 3인(왼쪽부터 칼빈, 루터, 멜랑흐톤, 독일 비텐베르그 멜랑흐톤하우스 전시화)
    자연 과학에 대한 칼빈의 이해는 '적응'의 방법으로
    "보통 사람들을 위해 보통 학교를 개설하셨다"는 하나님에 대한 칼빈의 생각은 적응의 방법으로 나아간다. 이 적응(Accommodation)의 방법이란 무엇인가. 하나님은 죄 많은 인간에게 말씀하실 때 아버지가 어린 자녀에게..
  •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창조신학칼럼] 예수의 섭리주 하나님 계시
    섭리(攝理)는 하나님이 세상을 다스리고 보존하는 방식을 말한다. 성육신과 함께 세상의 제한 속으로 들어오신 예수께서는 섭리의 계시 속에서 구원의 은총으로 나아가기 위한 생애를 사셨다. 즉 하나님 섭리의 영역도 하나님의 창조 세상의 영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