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은 바울이 아레오바고 의회에서 연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기독교와 다른 문화의 만남을 다루고자 하는 경우 본문을 자주 인용합니다. 교회와 세상의 대결 속에서도 '알지 못하는 신' 대신에 살아계신 하나님을 소개하는 틀을 따라 '창조론과 과학'의 관계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합니다. 본문에는 창조주 하나님(24절)('원 창조' creatio originals) 만이 아니라, '계속 창조'(creatio continua) 속의 구속주 하나님(25~30절) 그리고 부활(31절)의 '새 창조'(creatio nova)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창세기에서 과학적 지식을 발견하려는 시도는 신학적으로나 과학적으로나 모두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경고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성경은 여러 곳에서 다양한 창조신앙을 말합니다. '창조론과 과학'이라는 포럼의 결론은 오늘날 생태계의 파괴와 환경오염으로 말미암은 생명 위기 앞에서 창조세계를 보존하고 과학의 발전과 자연세계의 '피조물의 탄식'(롬 8:22)에 대한 종말론적, 우주적 완성에 모아져야 합니다.

칼빈이 제시한 교회를 위한 일반 학문을 사용 근거, "만일 우리가 물리학, 변증학, 수학 등의 학문들에서 불경건한 자들의 업적과 활동의 도움을 받기를 원한다면, 마땅히 그런 도움을 받아들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런 학문들에서 하나님께서 값없이 베푸신 선물을 소홀히 한다면, 우리의 나태함에 대하여 공의의 형벌을 받아야 마땅할 것이다"를 따라 과학의 도움으로 성경의 창조론을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다면 좋은 일일 것입니다.

바울은 본문에 "알지 못하는 신에게"(Ἄγνωστος Θεός, 23절) 대신에 '살아계신 하나님'을 제시합니다. 포럼에 참여한 대상들을 고려하여 영국의 도킨스라는 진화생물학자가 [만들어진 신]에서 논하는 '망상의 신' 대신에 로고스의 하나님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도킨스는 [만들어진 신]에서 신학자인 본회퍼의 신 존재 증명을 반박하면서 인간의 상상에 따라 만들어 낸 신은 허상일 뿐이라 했습니다. 그러나 본회퍼는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는 것을 신의 영역으로 보려는 '틈새의 신' 논증이나 자연과학의 작업가설로서의 신 이론뿐만 아니라 신의 전능성에 기초하는 '기계장치의 신' 대신에 고난의 신을 제시했던 것입니다.

첫째, '틈새의 신'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는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이한음 역, 김영사, 2007)에서 진화론에 기초한 과학 무신론으로 기독교를 반박하면서 '과학은 더 이상 신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과학 무신론의 도전에 대해 영국의 알리스터 맥그라스(Alister McGrath)는 [도킨스의 신](김태완 역, 서울: SFC, 2007)에서 도킨스는 정당한 과학의 전제에 근거하여 무신론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 종교나 신에 대한 개인 "감정적인 측면"을 표현하고 있는 것일 뿐이라 반박합니다. 자연주의에 기초해 종교를 정의하는 도킨스의 결론은 이미 순환 논증에 빠져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가 던진 기독교의 인류에의 이바지에 의문에 대해 반성하면서, '기독교는 우리 사회와 문화 그리고 인류의 행복증진 뿐만 아니라 우주적 자연과학의 세계에 더욱더 이바지해야 합니다.'

신학이 과학으로 증명되지 않은 것을 신의 활동으로 보려는 '틈새의 신'(God of the Gaps) 이론에 안주하고 있었다면, '과학이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신이 존재한다고 주장해서는 안 된다'는 도킨스의 입장에 동의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신의 존재 여부가 과학의 설명에 의해 참 거짓으로 판명이 난다면, 성경이 증언하는 하나님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바울이 아덴에서 설교한 하나님은 분명 창조의 하나님으로 '틈새의 신'이 아니라 인격적으로 살아계신 하나님입니다.

둘째, '기계장치의 신'

본회퍼는 신의 전능성에 기초하는 '기계장치의 신' 대신에 십자가에서 죽은 고난의 하나님을 말했습니다. "인간의 종교성은 인간이 곤궁에 빠졌을 때 이 세상에서의 신의 능력에 호소하도록 인간을 가르친다네. 그것이 곧 기계장치의 신이라네. 성경은 인간에게 신의 무력과 고난을 가르치고 말일세. 고난을 당하는 신만이 우릴 도와줄 수가 있네. 그런 한에서 우리들은 앞서 말한 세계의 성인성으로서의 발전이 그릇된 신 관념을 일소하고, 이 세계에서 그의 무력함에 의해서 능력과 장소를 획득하는 성경의 신을 볼 수 있게 된다네."

과학은 고난 받은 하나님에 대해 모릅니다. 하나님은 하늘에 계십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역사 속에 계십니다. 독일의 신학자 융엘은 고난의 십자가 말씀을 통해 무신론을 반박했습니다. 무신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신의 죽음으로 보고자 했지만, 그는 십자가를 '살아계신 하나님의 죽음'이라 했습니다. 리쾨르라는 불란서 기독교 철학자는 로고스 하나님이 바로 창조주 하나님이시고 구원하시는 십자가의 하나님이시고 부활하신 능력이라 말합니다. "로고스 안에서 사물이 존재하도록 놔둘 때 또는 사물이 드러나도록 놔둘 때, 그 때 사람은 로고스가 은총인 것을 느끼며 위로를 얻는다. 로고스가 인간을 창조할 때 인간은 참으로 인간다워진다. 고대 철학사는 로고스가 피지스(physis)와 같은 것이었음을 알았다. 그러나 현재 자연과학, 특히 도킨스는 로고스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기독교처럼 로고스를 신의 자기계시나 인간존재 창조의 매체로 이해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로고스를 통한 피지스 이해와 설명을 도킨스가 관심 가져야 할 주제이다."

하나님은 창조주 하나님이면서 동시에 십자가의 고난 속에서 죽으신 하나님이나 부활하여 살아계시는 하나님이십니다. 과학이 창조와 십자가와 부활을 과학적으로 증명해 준다고 해서 성경의 진술이 참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과학이 증명해 주는 업적을 거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도킨스가 의도한 대로, 신을 통해 설명해왔던 많은 사실들이 이제는 과학에 의해 설명될 것이고 따라서 과학의 중요성이 증대해 나갈 것입니다.

'창조론과 과학'의 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포럼에 참여하신 분께 그리스도교의 세 가지 창조교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본문은 이 세 가지 창조 교리를 설명할 수 있는 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첫째, '무로부터의 창조'

기독교는 성 어거스틴 이래로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io) 교리를 통해 '원 창조'를 설명해 오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세계를 '하나님의 말씀'(rhEmati theou)을 통해 '무로부터' 창조하십니다. '원 창조'와는 다르게 창조의 보존과 관리를 위임하는 교리가 전승되어 오고 있습니다. 바울이 [사도행전] 17장 25절 이하에서 제시한 '계속 창조'의 원모델은 인간에게 부여된 '땅을 다스리기'(Dominium terrae, 창 1:26~28) 교리입니다. 독일의 신학자 몰트만은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이라는 책에서 그것을 강조합니다.

둘째, '계속 창조'

'계속 창조' 개념은 신의 섭리에 근거합니다. 우리는 계속 창조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나라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건의 근거이며 근원인 로고스는 아버지의 아들이면서 동시에 모든 사건의 목적점입니다.

'계속 창조' 이론 안에서는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아인슈타인)는 생각과는 달리 우발성과 자유 개념이 중시됩니다. 여기서 우발성이란 통일적인 작용의 의미가 아니라 창조의 되어감 속에서의 다양성을 뜻합니다. 독일의 신학자 융엘(Eberhard Jüngel)은 하나님을 '되어감 속에 계시는 하나님'(Gottes Sein ist im Werden)이라 했습니다. '계속 창조' 교리를 통해 그리스도 예수를 통한 구원사가 독일의 폰 바이체커(D. Fr.von Weizsäcker)가 체계화한 자연의 역사성에서도 잘 확대되었습니다.

'계속 창조' 교리 안에서 진화론을 논의하고자 하는 여러 학자들이 등장합니다. 융엘이 논증했듯이, '되어감 속에 계시는 하나님'이 핵심입니다. 그렇지만, 처음 시작하면서 언급한 것처럼, 생태계의 파괴와 환경오염 등으로 말미암은 창조의 보존과 관리의 주제로 확대되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의 통치 주권은 자연과학의 발전을 통해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셋째, '새 창조'

예수님은 사두개파 사람들과 부활 논쟁이 벌어졌을 때에, 부활을 두고서 하나님이 하신 출애굽기 3장 6절의 말씀을 인용하면서, 살아계신 하나님을 가르칩니다. "죽은 사람들의 부활을 두고서 말하면서, 너희는 아직도 하나님께서 너희에게 하신 말씀을 읽지 못하였느냐? 하나님께서는 '나는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요, 야곱의 하나님이다' 하고 말씀하시지 않으셨느냐? 하나님은 죽은 사람의 하나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의 하나님이시다"(마 22:31~32 새번역).

바울은 하나님의 심판 활동에 함께 하시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새 창조'을 말합니다. 독일의 링크 교수는 창세기 1장 31절 "하나님이 그 지으신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 1:31)을 "새 창조의 약속"으로 이해하여 종말론적인 완성인 '보시기에 심히 좋을 것이라'고 논증합니다. 독일의 판넨베르크라는 조직신학자가 제안한 것처럼 "창조와 종말은 함께 속합니다. 왜냐하면 종말론적 완성 속에서야 피조물, 특별히 인간에 대한 규정이 궁극적으로 실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과학이 '새 창조'에 대해 어떤 말을 하는지 잘 모릅니다. 그러나 바울은 종말의 사건 속에서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심판하심을 제시합니다. 자연과학이 신학이 발전시킨 세 가지 창조교리를 잘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으로 자연과학의 발달이 더욱 촉진될 수도 있으니까요.

/글=기독교학술원 제공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독교학술원 #정기철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