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지방선거와 함께 진행된 교육감 선거는 여야가 균형을 이룬 광역자치단체 구도와 달리 진보 쏠림이 나타나 이변이라는 평이다. 특히 일반적인 정치 지형상 보수 성향으로 분류돼온 부산·충북 같은 지역에서도 오후 11시 현재 진보 후보들이 1위를 달리고 있다.

이 시각 기준으로 서울의 조희연 후보와 경기도의 이재정 후보를 비롯해 강원, 세종, 대전, 충북, 충남, 전북, 전남, 부산, 경남 제주 등에서 진보 후보들이 1위를 달리고 있다. 보수적 성향이 강하다는 교육 부문에 대한 일반론은 사실상 깨졌다고 보는 시각이 커졌다.

당초 보수 교육계 인사들 사이에선 "수도권만 진보 후보들로 채워져도 박근혜 정부의 교육정책은 남은 임기 동안 사실상 동력을 상실하게 된다"고 우려했었다. 하지만 진보후보들의 약진은 그런 예상을 훌쩍 뛰어넘어 보수 후보들이 오히려 소수로 전락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정주조직 개편으로 권한이 커지는 교육부 장관이 진보가 대다수인 교육감들과의 교육정책을 잘 이끌어갈지가 미지수다. 2010년에도 진보교육감들과 정부와의 갈등이 일부 지역에서 벌어졌지만 이번 선거 이후 더 커질것이라는 분석이다. 보수 정권의 교육부 장관과 진보 교육감의 갈등 증폭을 피하기 위해서는 중앙 정부의 교육정책과 지방 교육감의 권한을 법률적으로 교통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진보 교육감 후보들은 정부정책과 달리 특수목적고, 자율형 사립고에 반대하고 평등교육을 주창해왔다. 일각에선 경쟁위주의 교육에 지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세월호 참사도 선거의 판도를 크게 뒤흔들었다. 입시에 매몰된 탓에 생명과 안전의 소중함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했다는 유권자들의 성찰이 수월성 교육보다 평준화 교육, 경쟁교육보다는 협력교육에 무게를 실린 것이다.

교육감의 이같은 구도는 단일화에 적극적인 진보후보들에 비해 보수후보들이 난립했기 때문이다. 서울의 경우 진보진영은 일찌감치 조희연 후보를 단일후보로 내세웠지만, 보수에서는 고승덕, 문용린, 이상면 등 3명의 후보가 나왔다. 진보 단일후보인 이재정 후보가 1위를 달리는 경기지역 역시 보수에서는 김광래, 조전혁, 최준혁 등 3명이 나섰다.

보수 후보들은 상대방 진영은 물론 같은 진영끼리도 경합을 벌이면서 서로에게 흠집을 내는 바람에 유권자에게 피로감을 줬다. 진보 후보가 득을 본 셈이다.

교육학을 전공하는 대학 교수는 "정당이 공천하는 단체장과 달리 교육감 선거는 후보 단일화 과정이 없는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출신이 대거 출마하는 진보진영과 달리 보수진영엔 구심점이 없다"며, 과거 선거를 보면 대체로 진보 성향의 표가 30%정도는 나오는데 보수성향으로 두명 이상이 나오면 당선이 어려워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교육감 #6.4지방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