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2023년 한 해가 저물어 간다. 지난 약 1년 동안에도 한국교회에는 우리의 눈길을 끌었던 크고 작은 뉴스들이 있었다. 기독일보는 올해를 정리하며 ‘2023 기독교 10대 뉴스’를 선정,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10위부터 아래 정리했다.

10.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사마리안퍼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사상자 긴급대응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지역에서 사상자 긴급대응에 나섰던 사마리안퍼스 ©사마리안퍼스 코리아 제공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지난 10월 7일 새벽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해 수많은 인명을 살해하고 인질을 납치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후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향해 대규모 공격에 나섰다. 이는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으며, 특히 종교 문제와 결부된 중동 사태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기독교계에도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최근까지 사망자는 팔레스타인인과 이스라엘인 포함 15,000명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9.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이홍정 목사 총무 사퇴

이홍정 목사
NCCK 전 총무 이홍정 목사 ©기독일보DB

교계 진보진영 연합단체의 사실상 대표인 NCCK의 총무가 4년 임기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올해 중도사퇴하는 초유의 일이 발생했다. NCCK 회원교단 중 한 곳인 기독교대한감리회 내에서 NCCK가 차별금지법 제정을 지지하고 동성애를 옹호하며 종교다원주의를 지향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NCCK 탈퇴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에 이홍정 목사가 NCCK 총무로서 책임을 통감해 이 같이 결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목사의 후임으로는 김종생 목사가 선출됐다.

8. 저출산 위기감과 교계의 극복 노력

저출생 극복을 위한 한국교회 예배
(왼쭉부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김영미 부위원장, 한교총 대표회장 이영훈 목사,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이 출산을 장려하는 내용의 팻말을 들고 있다. ©한교총

2022년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집계돼 사회적 우려를 낳았다. 이에 교계에서는 ‘인구절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교회가 앞장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일각에서는 결혼과 출산의 중요성을 사회에 각인시키지 못한 교회에도 그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아울러 교계를 중심으로 낙태 반대 등 생명의 소중함을 알리는 캠페인이 전개됐다. 교회의 공간을 출산과 돌봄 보육의 센터로 활용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7. 중국, 자국 내 탈북민 600여 명 강제북송

강제북송 반대 집회
과거 한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중국의 탈북민 강제북송 반대 내용을 담은 피켓을 들고 있던 모습 ©뉴시스

항저우 아시안게임 후 중국이 자국 내 탈북민 600여 명을 강제북송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국제 사회에서 비판 여론이 일었다.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인권이사회국이고, 유엔 난민협약과 고문방지협약에 가입한 나라로서 탈북민 강제북송은 옳지 않다는 지적에 제기됐다. 교계에서도 중국이 반인권적 행위를 저질렀다며 규탄 목소리를 냈다.

6. 서울시, 퀴어문화축제 서울광장 사용 불허

퀴어축제 반대 통합국민대회 거룩한방파제
‘퀴어축제 반대 통합국민대회 거룩한방파제’가 열리던 모습 ©기독일보 DB

서울시가 올해 서울퀴어문화축제의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했다. 서울퀴어문화축제는 코로나19로 인해 광장 사용이 제한됐던 2020·2021년을 제외하고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서울광장에서 열렸다. 그러나 서울시의 불허 결정으로 올해는 서울광장이 아닌 서울 을지로2가 일대에서 열렸다. 퀴어축제에 맞서는 ‘통합국민대회 거룩한 방파제’는 퀴어축제가 열리는 날, 서울시의회 앞 도로 일대에서 주최 측 추산 약 15만 명이 운집한 가운데 진행됐다.

5. 챗GPT

ChatGPT 챗GPT
©Om siva Prakash/Unsplash

미국 오픈AI가 지난 2022년 12월 1일 공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가 올해 혁명적 변화를 일으켰다. 챗GPT는 교회와 목회에도 반향을 일으켰다. 인터넷 상의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교문, 기도문 등을 무리없이 생산해 내는 챗GPT로 인해 미래 목회를 전망하거나 그 한계 등을 논의하는 각종 교계 세미나와 토론회가 활발했다.

4. 차별금지법 반대 국회 앞 1인 시위

이재훈 목사 김운성 목사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에 반대한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국회 앞 1인 시위에 나섰던 온누리교회 이재훈 목사(왼쪽)와 영락교회 김운성 목사. ©기독일보 DB

지난해 9월 29일 아침 영락교회 김운성 목사가 국회 6문 앞에서 ‘차별금지법 반대 1인 시위’에 나선 이후 지금까지 매주 목요일 아침 같은 장소에서 이 시위가 이어졌다. 그 동안 많은 목회자들이 이 시위에 나섰는데, 특히 이재훈 목사(온누리교회), 이영훈 목사(여의도순복음교회), 이찬수 목사(분당우리교회), 최성은 목사(지구촌교회) 등 대형교회 담임목사들이 시위자로 나서면서 교계와 사회의 주목을 끌었다.

3. <나는 신이다>, JMS 파문

정명석(왼쪽)과 정조은(오른쪽)
정명석(왼쪽)과 정조은(오른쪽) ©대전지방검찰청 제공

올초 공개된 넷플릭스 8부작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이 우리 사회를 경악하게 만들었다. 특히 JMS 교주 정명석의 충격적 성범죄 혐의가 폭로되면서 이단·사이비의 반사회성을 새삼 환기시켰다.

2. 애즈베리 부흥운동

애즈베리대학교 류응렬 목사
‘애즈베리 부흥’ 당시 애즈베리대학교에서 예배가 진행되던 모습 ©류응렬 목사 페이스북

미국 켄터키주 윌모어의 애즈베리대학교(Asbury University)에서 지난 2월 8일 시작된 대각성, 내지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당시 채플 이후 일부 학생들이 남아 기도모임을 계속했고, 이것이 들불처럼 번지면서 전 세계 기독교인들이 주목하는 부흥운동으로 이어졌다. 예배가 드려진 애즈베리대학교 채플에는 연일 빌디딜틈 없이 인파가 몰려, 채플에 들어가지 못한 이들이 밖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 현장에 다녀간 것으로 알려졌다.

1. 코로나19 여파, 회복되지 못한 현장예배

교회 예배
코로나19 펜데믹 당시 한 교회에서 교인들이 서로 거리를 띄운 채 예배를 드리던 모습(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뉴시스

한국교회는 지난 약 3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어두운 터널을 지나왔다. ‘비대면 예배’ ‘온라인 예배’ 등을 거친 한국교회는 그 여파에서 여전히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 현장예배가 완전히 회복됐지만 많은 교회들에서 예배 참석 인원이 코로나19 이전의 약 70%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순 양적인 면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 즉 성도 개인의 신앙 성숙도도 그 전보다 많이 하락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많은 목회자와 성도들은 한국교회의 미래를 고민하며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교계에서는 한국교회가 다시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타

이 밖에도 지난 여름,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회’가 폭염과 태풍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자 교회들이 스카우트 대원들에게 숙소 등을 제공해 국민들의 박수를 받았다. 또한 지진이 발생한 튀르키예와 시리아 등에 한국교회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기도 했다. 빌리그래함전도대회 50주년 기념대회가 지난 6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려 한국교회 부흥을 다시 꿈꿨다. 아울러 ‘교권 추락’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그 원인으로 ‘학생인권조례’가 지목돼 교계 등으로 중심으로 폐지 여론이 일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