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호 휴스턴 총영사
정영호 휴스턴 총영사 ©미주 기독일보

올 1월 박진 외교부 장관은 외교부 관료 출신이 아닌 정영호 전 재외 동포특별위원회장을 맡아 당내에서 실력을 인정받았던 정영호 목사를 제21대 휴스턴 총영사로 임명했다. 주휴스턴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미국 중남부의 텍사스 주, 아칸소 주, 오클라호마 주, 미시시피 주, 루이지애나 주 등 5개 지역, 18만 재외 이민 사회를 관할하고 있다. 이에 미주 한인사회는 정영호 총영사가 이민자의 삶의 애환과 현실을 누구보다도 직시하고 있는 인사이기 때문에 현장 감각이 있는 외교관으로 업무 수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미주 기독일보는 2회 연재로 정영호 총영사를 심층 취재한 내용을 정리해서 게재한다.

정영호 총영사의 기독인으로서의 삶의 자취와 공직자의 책임 의식

이창한 편집장: 먼저 바쁘신 일정에도 취재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외교부에서 인사 발령받으신 후 휴스턴으로 오신지가 1개월 남짓 되었는데 시차는 잘 적응하고 있습니까?

정영호 총영사: 대한민국 정부가 이 지역에 꼭 필요한 사람이라 판단하고 보내 주신 것으로 이해하고 최대한 신속하게 업무 파악을 순조롭게 잘 하고 있습니다. 미국 영주권자로서 미국 사회가 전혀 낯설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다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귀국하게 되었지만, 다시 미국으로 와서 동포 사회와 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리로 오게 된 것이 감사합니다. 총영사로서 동포들이 필요한 일들이 무엇인지 섬길 수 있는 광범위한 직책에 무거운 책임을 느끼고 있습니다. 저는 젊은 시절부터 아무리 작은 일도 하나님께서 맡겨 주신 일이라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느라 나 자신을 괴롭히는 스타일입니다. 국회 사무처 1급 비서관에 최연소로 발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 한나라당 당 대표 공보특보와 내외뉴스 통신 사장 등의 직책을 맡았을 때도 대부분 손수 운전하고 공과 사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공직자로서 바른 자세라고 생각하면서 살아왔습니다. (아마) 이러한 일들을 하나님께서 긍휼히 여겨 주신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총영사로서 대한민국과 동포사회를 위해서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려고 합니다.

궁인 대표: 국회 사무처에 계시다가 도미해서 신학을 하면서 목회자까지 되었는데요. 일반 정치인들과는 많이 다른 길을 걸어 오셨습니다.

정영호 총영사: 목사 안수만 받은 것이 아니라 담임목회자로 교회를 섬긴 이력도 있습니다(웃음). 교회 다니면서 뜨거운 성령 체험을 했지만, 집안에 아무도 예수 믿는 사람이 없었던 탓에 자신의 진로를 제대로 정하지 못한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와 신학과를 놓고 고민하다가 연세대 신학과로 진로를 정했었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아주 잘했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 의회발전 연구회 전문위원을 거쳐 국회 부의장 비서실장까지 활동하며 국회와 정부의 전반적인 업무들을 파악할 수 있었던 시기는 복음의 공공성(publicity)을 기반으로 한 공공선(public good)을 적용할 수 있었던 절호의 기회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하나님의 사역을 감당하기 위해 연세대를 세웠던 언더우드 선교사가 공부한 뉴브런즈윅 신학대학(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에서 공부하고 목사 안수를 받게 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러한 삶의 경로를 통해 역사하신 경험이 있기에 이제는 내 삶에 하나님에 대한 기대와 믿음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현실에 적용하고 섬기는 일에 앞장서려고 합니다.

이창한 편집장: 총영사님께서는 문화와 예술에 조예가 깊다고 들었는데 종교와 문화가 이민사회에 끼친 공헌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문화와 예술을 잘하는 것과 잘 아는 것은 다르지만, 저는 연세대에서 신학을 하면서부터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습니다. 특히 이민 사회에서 종교활동의 비중은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기독교 뿐만 아니라 다른 종교 또한 고단한 이민 사회에서 이민자들에게 힘이 되어 왔던 것은 분명합니다. 휴스턴만 해도 50여 개의 개신교회가 이민 사회를 섬기고 있고, 타종교 또한 그 활동 폭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어느 지역보다 미 중남부에 거주하는 동포들에게 종교는 더욱 친근한 이웃처럼 다가왔고 그래서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이 아닌가 합니다.

교회는 미국 대부분의 이민자의 삶 속에 숫자상으로 (다른 종교에 비해)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교회를 통해 이웃을 향한 사랑이 생성되는 독특한 교회 공동체 의식에 이르게 될 뿐만 아니라 과거의 어두운 상처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충분히 도와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도 목회 현장에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공감하고 인지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계속)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