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국민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중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으로 해당 분기를 포함하는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원계열) 1천204조6천억원의 68.6%를 차지했다.

지난 1년간 우리 국민이 실제로 쓸 수 있는 소득에서 가계 대출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바짝 다가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악화일로는 걷는 상황에서 향후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경제가 둔화할 경우 가계부채의 부실화가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으로 해당 분기를 포함하는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원계열) 1천204조6천억원의 68.6%를 차지했다.

이는 매년 상반기 말 기준으로 따졌을 때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최대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무상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해 실제로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GNI는 국내 부가가치 생산량인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해외 이자ㆍ배당ㆍ근로소득 등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가감해 산출한다.

매년 6월 말 가계대출 잔액이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52.0%로 처음 절반을 넘어선 이후 2003년 54.4%, 2004년 54.5%, 2005년 55.7%, 2006년 58.5%, 2007년 60.4%, 2008년 63.8%, 2010년 67.6%로 꾸준히 늘었다.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같은 기간 가계대출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595조3천억원) 대비 가계대출 증가분(28조5천억원)은 비중은 4.8%로 전년(3.9%)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대출 증가분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5.5%에 달했다가 2009년 2.6%로 떨어졌으나 2년 연속 증가하면서 다시 2008년 수준에 바짝 다가섰다.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그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된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1일 한은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공동 발표한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총부채 비중은 지난해 151.6%에서 올해 158.5%로 확대됐다. 또 조사 가구 가운데 74.2%가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더욱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3%대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어 소득이 늘어날 유인이 많지 않은 상황인 만큼 향후 가계의 부채 부담은 급격히 불어날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향후 가계의 빚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 "더욱이 대내외 경제여건이 불안한 상황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상환압력이 들어온다면 과다부채 가구를 중심으로 가계가 쓰러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가계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