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현모 교수
류현모 교수

세계관은 삶의 전반에 대한 전제들의 집합이다. 이 전제에 따라 세상은 전혀 다르게 해석된다. 그중 우리 삶에 가장 폭 넓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신의 존재에 대한 전제이다. 그러므로 모든 세계관은 유신론적 세계관과 무신론적 세계관으로 나눌 수 있다. 유신론적 세계관에는 기독교 세계관, 이슬람 세계관, 그리고 뉴에이지 세계관이 무신론적 세계관에는 인본주의 세계관, 마르크스-레닌주의 세계관, 그리고 포스트모던 세계관이 있다. 기독교 세계관과 경쟁하는 다른 세계관들의 진정한 차이를 이해한다면 성경과 창조 속에 드러난 하나님의 진리를 사랑하고 실천하고 변론하는 일을 탁월하게 준비하게 될 것이다.

 

유신론적 세계관

신의 존재를 인정하더라도 어떤 신의 존재를 전제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세계관을 가지게 된다. 유신론적 세계관은 크게 일신론, 다신론 그리고 범신론으로 나눠진다. 일신론은 유대-기독교-이슬람의 뿌리인 창조주 하나님을 전지전능한 유일한 신으로 전제하는 세계관이다. 유대교와 이슬람교는 인간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자력종교이다. 유대교는 여호와가 주신 율법을 철저히 지킴으로써, 이슬람교는 알라와 선지자가 정한 규범을 지키고 선행을 더 많이 함으로써 구원을 얻는다고 믿는다. 반면 기독교는 타력종교이다. 인간의 노력과 선행으로는 구원을 얻을 수 없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

 

다신론에는 그리스-로마 신화처럼 지혜의 신, 태양의 신, 바다의 신, 미의 신 등 전문 분야를 가진 신을 전제로 하는 세계관이 있다. 정령신앙은 자연의 영역별로-산, 바다, 동굴, 고목 등-그것을 관할하는 신이 있다고 전제한다. 산신제나 해신제를 올리는 것은 그 곳을 관할하는 절대적 존재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이다. 가나안 족속들도 풍요, 결실, 다산 등 자신들의 삶을 도울 수 있는 신의 존재를 전제로 했다. 힌두교도 수없이 많은 신이 있는 종교다. 불교는 원래 무신론이지만 인간이 해탈의 경지를 지나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부처를 신적 존재라 간주할 때 모든 것에서 신성을 찾는 범신론이다. 일본의 신도는 불교를 기반한 범신론에 정령신앙, 무속신앙 등이 혼합된 종교다. 가는 곳 마다 각종 신을 섬기는 신사가 있고, 집의 현관마다 섬기는 신이 여럿 존재한다.

무신론적 세계관

중세시대 유럽인의 모든 삶은 기독교적 세계관의 기반 위에 있었다. 르네상스를 거치며, 신학 외 인문학, 과학 등 다른 학문들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이성이 깨어나는 시대라는 계몽주의 시대가 도래한다. 이때 이신론(deism) 즉, 이성적인 신론이 등장한다. 이것은 인간과 격리되어 있는 하나님을 전제한다. 유일한 창조주를 인정하지만 직접 계시하거나 기도에 응답하는 하나님을 부정한다. 창조하시되 간섭하지 않고 마지막에 심판하시는 하나님이 존재할 뿐이다.

이신론에 설득되어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잃어버린 인간은 결국 무신론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신론 이후 모던시대에 인본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무신론적 세계관이 쌍둥이처럼 태어난다. 이들은 세상을 창조하고, 생명을 창조한 하나님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해 진화론을 환영했고 서로 공명하며 진화론을 과학이론의 중심 패러다임으로 정착시켰다.

이후 너무나 이성적인 모더니즘에 반발하여 반이성을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나치독일 치하의 삶, 소비에트 강제노동 수용소에서 국가주의나 전체주의의 문제점을 경험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 고안해 낸 것이다. 집단이 아닌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을 최고의 선으로 보았다.

이들 무신론적 세계관의 공통적인 특성은 물질로 존재하는 것만 인정하는 자연주의이다. 신이 없다고 전제하므로 우주와 생명은 우연히 생긴 것으로 가정할 수밖에 없다.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것들의 가치에 대해서도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의식, 인격, 이성, 영혼 같은 것은 인간 두뇌활동의 결과일 뿐 허상이므로 가치를 두지 않는다. 진화론의 패러다임 하에 무신론적 세계관들이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장을 장악하고 있다.

우리는 각자 다른 가정에서 태어나 다른 학교에서 다른 부모님과 선생님을 통해 세상을 소개받는다. 따라서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우리의 세계관은 여러 세계관의 요소들로 얼룩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행동 하나하나가 어떤 가치관 혹은 세계관의 기준에 의해 선택되고 있는지 깨닫고 분별할 필요가 있다. 얼룩 하나하나가 어떻게 생긴 것인지 점검하고 닦아내어, 맑고 깨끗한 성경의 렌즈로 만들어 가야 한다.

묵상: 크리스천인 나의 세계관에 침투해 있는 무신론적 혹은 다신론적 요소가 있는가?

류현모(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분자유전학-약리학교실 교수)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류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