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경희대병원에 입원하던 중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에 감염된 환자가 증상 발현 후 병원 내 투석실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투석실에는 메르스에 취약한 기저질환자 111명이 이용했던 것으로 파악돼 '병원 내(內) 감염'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165번(79) 환자는 메르스 증상이 발현한 지난 9일 이후 16일까지 2~3일 간격으로 강동경희대병원 투석실을 찾았다.

강동경희대병원은 76번(75·여·6월10일 사망) 환자가 응급실을 하루 정도 머무른 적이 있어 코호트 격리를 받고 있었다.

165번 환자는 9일 미열과 기침 증세가 감지됐지만, 한 차례 진행된 엑스레이(X-ray ) 촬영에서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아 격리 조치되지 않았다.

16일 고열이 나타나 실시한 유전자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 사이 이 환자는 11일과 13일에도 투석실에 내원했다.

이 기간 투석실을 이용한 환자는 모두 111명으로 보건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76번 환자가 주로 진료 받았던 응급실에서 노출된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들을 격리 대상에 포함해 감시하고 있는 중이었고, 그 당시 165번 환자는 응급실을 방문하지 않아 일단 명단에서는 빠져있었다"면서 "어떤 경로를 통해 감염됐는지는 조사 결과를 봐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메르스는 혈액을 통해 전염된 사례는 없지만, 혈액 투석시간이 통상 4시간 정도로 긴 편인데다 환자 간 병상의 거리가 가까워 밀접 접촉이 불가피하다.

또 투석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의 중증 환자가 머무른다.

정 센터장은 "투석 환자는 2~3일 간격으로 동일 병원에서 계속 투석을 받는데, (165번 환자가 이용했던) 기간에 투석실을 이용했던 전체 환자 수가 111명으로 확인됐고 동일시간대 같이 투석받은 환자는 일부"라면서도 "투석실이 굉장히 침대가 밀접돼 있는데다 4시간 정도 치료를 받아야 해서 집중관리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보건당국은 111명에 대해 자가격리 조치하고, 국민안전처의 협조를 받아 투석시 병원 왕복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 센터장은 "76번 환자로 인한 추가 환자 발생이 예상되나, 이 환자가 다녀간 다음에 바로 (코호트격리) 조치가 됐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통제할 수 있는 상황일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경희대병원에서 76번 환자에 의해 바이러스에 전파된 환자는 1명 더 있다. 지난 16일 확진된 병원 응급실 레지던트인 160번(31) 환자다.

이에 따라 165번 환자가 160번 환자에 의해 바이러스를 옮았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센테장은 "165번 환자와 160번 환자의 관계에 대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라면서 "동일 시간대에 진료받은 것은 확인이 됐지만 어느 측면에서 접촉이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는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강동경희 #메르스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