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으로는 위험할 수 있는 변동금리 대출

금융·증권
편집부 기자

변동금리 대출 증가가 향후 기준 금리 인상 이후 가계부채의 추가 부실을 불러올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은행에서 판매하는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가 한 달 새 0.53%포인트 가량 올랐다.

국민은행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상품 '포유(FOR YOU) 장기대출'의 최저 금리는 4월 3.15%였다가 지난달 20일 3.38%로 0.23%포인트(p) 상승했다.

또 우리은행의 '우리아파트론' 금리 구간도 4월에 2.74~4.13%(혼합형 기준)까지 내렸다가 지난달 20일 3.22~4.81%로 조정됐다.

반면 변동금리 대출의 경우 시중은행들의 예금 금리 수준이 반영된 코픽스(COPIX)에 연동하는 상품이 많아 이자율이 하향세다.

우리은행의 우리아파트론의 신규기준 변동금리 상품은 최저금리가 지난달 말 2.71%에서 최근 2.58%까지 내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상황만 놓고 보자면 변동금리가 유리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은행의 입장에서는 금리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장기 고정금리 대출은 순이익 감소우려가 높다는 점에서 변동금리 대출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 1분기 가계부채는 1099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1조6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금리가 1%p 오를 경우 가계의 이자 부담은 11조원이 늘어난다는 얘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앞으로 금리가 오른다면 고객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금융당국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서 고정금리형 대출의 비중을 2017년 말 40%까지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30조가 넘는 재원을 풀어 안심전환대출을 출시한 것도 고정금리 가계 대출의 비중을 높이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시장 상황은 금융당국에서 원하는 대로 풀려가지는 않고 있다. 가계 부채 문제에 대한 정책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뉴시스

#대출금리

지금 인기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