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26일 부산 근해에서 해군 신형 구조함인 통영함과 기뢰제거함인 옹진함과 함께 협동작전 항해시연 중 헬기 이 착함 시연을 하고 있다. 당시 통영함은 납품비리로 어군탐지기 수준의 음파탐지기(선체 장착 소나·Hull Mount Sona)를 장착해 사실상 스스로 수중의 구조선체 수색을 할 수 없어 바다 속의 기뢰를 탐색해 제거하는 임무를 담당하는 소해함(掃海艦·Sweeper)인 옹진함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사진공동취재단

[기독일보 윤근일 기자] 감사원의 통영함 최신예 수상구조함 통영함을 무력화시킨 데에는 해군사관학교 출신의 예비역-현역 군인들의 커넥션에서 비롯됐다. 건조 과정에서 납품처의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태가 나왔지만 실무자들의 서류 조작과 해군 참모총장의 직무 태만으로 최신 함정에 부실한 장비조달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감사원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는 2007년 9월 통영함에 수중물체를 지속적으로 탐지하면서 수중무인탐사정(ROV)을 유인할 수 있는 HMS를 탑재키로 결정했다. 당시 합참이 정한 작전운용성능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HMS의 사양이 '멀티빔(Multi beam)' 형태여야 했다. 멀티빔은 음파탐지 정확도가 91%에 달하며 수중물체 탐지와 ROV 유인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사청은 정확도가 67~84%에 불과하고 수중물체 탐지와 ROV의 동시유인도 불가능한 '단일빔(Single beam)'을 HMS 사양에 반영해 사업설명회에 참석한 업체들에 배포했다. 이는 예비역 대령 출신 브로커가 방사청의 전 상륙함사업팀장인 A씨에게 미국 납품업체인 H사가 공급하는 HMS를 구매해달라는 로비를 벌인 결과라고 감사원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당시 멀티빔 형태로 HMS를 만드는 제조사들은 입찰에 불참하고 H사만 단독 입찰해 평가 대상업체로 선정됐다. 방사청은 또 H사가 해당 장비의 성능 확인을 위한 시험평가 서류 등을 제출하지 않았는데도 협상 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 제출기한을 2009년 7월31일까지로 연장해 줬다. 특히 H사는 추가 제출기한을 넘긴 것은 물론, 현재까지도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있지만 방사청은 2009년 12월 통영함의 HMS 납품업체로 H사를 최종 선정해 계약을 체결했다.

그 결과 통영함에는 미군이 1969년에 건조한 평택함과 같은 사양의 HMS가 탑재됐고 해군의 성능 미달 판정에 따라 전력화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건조 중인 2번함도 H사가 납품한 HMS를 탑재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감사원 #통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