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주러공사·(사)박종수경제연구소 박종수 소장
前주러공사·(사)박종수경제연구소 박종수 소장

2차대전말 일본 본토에 투하된 핵폭탄의 위력은 빨치산 대장 김일성의 뇌리속에 강하게 각인됐다. 천왕을 무릎 꿇게 하는 신예무기에 대한 호기심은 북한 정권 출범과 동시에 핵개발을 착수케 했다. 1946년 김일성대 설립 때 핵의 이론적 기초를 다지는 물리수학부도 최초 개설됐다. 도상록 교수가 초대 학부장을 맡고 서울대 리승기 교수와 연세대 한인석 교수가 합류했다. 이들이 소위 북한 핵연구 1세대의 3인방이다. 모스크바대와 두브나연구소에서 핵이론을 연구한 정근, 최학근, 서상국 등 소련 유학파 3인방이 2세대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북한은 1956년 소련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협력협정’ 2건을 체결하면서 두브나연구소에 연수생을 본격적으로 파견했다. 북러간 과학협력이 중단된 1990년까지 약 30년간 북한의 핵분야 인력 250여명이 이 연구소를 거쳐갔다.

1964년에 북한은 소련의 지원하에 영변에 핵연구소를 건설하고 2메가와트 연구용 핵반응로를 설치했다. 1985년말에는 북소간 핵발전소 건설협정을 체결하고 북한의 NPT 가입을 통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갔다. 1980년대에 영변에만 핵개발 관련시설이 100여개 이상 건설됐다. 그러나 유감스럽게 1990년대 소련이 붕괴되면서 신생 러시아의 대북 핵개발 통제능력은 와해되고, 북한은 혼란기를 틈타 핵인력, 핵물질 및 심지어는 발사체인 미사일 기술까지 가져갔다. 대표적인 예로서, 1992년 12월에는 북한측이 러시아 미사일 전문가 20명을 데려가려다가 공항에서 체포됐고, 1999년 7월까지 중고 미그-21기 40대를 해체해 화물기에 실어 북한으로 은밀히 반입해 갔다.

그러면 왜 북한은 정권출범 당시부터 핵개발에 올인했는가? 첫째로, 2차대전말 미국의 일본 본토 원폭투하다. 김일성은 이 신비의 무기를 어떤 대가를 치르고서라도 개발하겠다는 강한 집념을 불태웠다. 둘째로, 한국전쟁 당시의 교훈이다. 김일성은 개전 초기에 미국이 핵무기 사용을 검토했다는 사실을 나중에 인지하자 ‘언제든지 미국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우려했고, 1961년 소련·중국과 동맹조약을 체결해 두 나라의 핵우산하에 들어갔다. 셋째로, 1962년 10월에 있었던 쿠바사태 때 소련이 취한 미온적 입장이다. 김일성은 북한의 위기 도래시 소련이 핵을 지원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대해 회의를 가졌다. 넷째로, 남한이 1970년대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을 추진했고, 그 후 미국이 남한내 전술핵을 배치했다. 다섯째로, 2002년 1월 부시 대통령의 악의축 지목이다. 북한 당국은 이라크 사담 후세인을 비롯한 비핵국 지도자들의 말로를 두려움으로 목격했다.

북한은 70년의 독재정권을 유지해 오면서 어떤 희생을 무릅쓰고라도 핵미사일을 갖겠다는 집념을 불태워 왔다. 특히 소련 붕괴 후 김정일은 ‘의지할 수 있는 것이 정신적 원자탄인 주체사상과 물질적 원자탄인 핵미사일 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일성의 ‘비핵화’ 유훈은 위장전술일 뿐이다. 진보정권이 퍼주기 해서 북한이 핵개발한다는 보수정권의 주장은 침소봉대요 남남갈등만 부추길 뿐이다. 아울러 개성공단이 북핵 개발에 악용되기 때문에 해체한다는 것도 근시안적 판단이다. 북한의 핵역사는 정권사와 궤를 같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수정권이 진보정권에 대한 ‘묻지마’식 책임전가는 비겁하거나 무지의 소치일 뿐이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세태 속에 기독인의 ‘행동하는 양심’이 목마르다. 위기시에 기독인은 진실을 설파했고 순교까지도 각오했다.

/글·사진=평통기연 제공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평화칼럼 #평통기연 #박종수 #박종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