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정태기 박사 생명의 언어

1. 입술의 언어

입만 살아 있는 사람 = 저 사람 말은 아무 소용(가치) 없는 말 = 잔소리

"TV 그만 보고 공부 좀 해, 공부 열심해 해서 좋은 대학 들어가"

이 얘기 듣고 기쁘고 감사한 마음으로 가서 공부하는 아이들 누가 있겠나?
잔소리를 많이 들으면 사람이 작아진다.

2. 머리의 언어: 지식·정보의 언어

"대전역 어디로 가요?"

이 얘기 듣고 가슴 벅차고 감격스러운 적 있나?

지식과 정보로 사람은 절대로 안 변한다.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사람의 인격은 안 변한다.

3. 가슴의 언어: 이해와 공감의 언어

누가 내 마음을 이해해주고 공감까지 해주면 창의력이 더블로 뛴다. 전도는 이렇게 해야 된다.

사람은 말을 할 때 기쁘다, 슬프다, 화난다, 무섭다 네 가지 기분을 가지고 말을 한다.

남편, 아이들이 얘기를 하면 기쁨, 슬픔, 화남, 무서움에 속하는지 얼른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공감해야 한다.

"엄마, 오늘 공부를 하고 있는데 누가 내 뒤에서 머리를 쓰다듬어. 그래서 돌아서보니까 우리 담임 선생님이야."

이 말은 '기쁘다'에 속하는 얘기. 이때 부모가 머리로 말하느냐, 가슴으로 말하느냐에 따라서 아이의 운명이 달라진다.

"우리 딸 얼마나 신났을까. 우리 딸 얼마나 기분이 좋았을까"

딸이 기분이 좋아서 하는 얘기에 공감까지 해줬다! 그 아이는 그 순간에 창의력이, 마음이 살아난다.

아들이 둘인데 동생이 형한테 맞고 엄마한테 온다. 이때는 기쁘다·슬프다·화난다·무섭다에서 '화난다'

그때 울고 온 아들을 엄마가 끌어잡고 "형아가 너 때려서 화났지?"하고 아이 마음을 알아줘야 한다. 그리고 나서 "형아가 너 때려서 엄마도 화나"라고 말하는 것이 공감의 언어다.

미국에서는 형한테 15번만 두드려 맞고 엄마한테 이렇게 이해와 공감의 언어를 들으면 그 아이는 형과 비교할 수 없이 창의력이 좋아진다고 말한다.

엄마는 때린 형을 옆방으로 불러서 "왜 때렸어?"가 아니라 "너 얼마나 화 났었니? 얼마나 화가 났으면 동생을 때렸니?" 그러면 형이 얘기를 할 것이다.

엄마는 "그래, 우리 아들" 그렇게 이해하고 공감해주면 그 아들도 큰다.

4. 혼의 언어

어떤 학자들은 '혼의 언어'는 입으로 내뱉는 말보다 500배가 더 강하게 작용한다고 한다.

왜 자녀들이 엄마, 아빠 얘기를 안들으려고 하나? 안들으려고 작정을 한 것이다. 들어도 소용 없는 잔소리니 엄마 아빠를 상대로 방어벽을 친 것이다.

상대방을 확 파고 들어가서 상대방을 움직일 수 있는 말을 해야 한다. 혼의 말은 방어벽을 뚫고 들어간다.

'혼의 언어'는 어떻게 하느냐?

자녀, 남편, 아내가 얘기하려고 할 때 다가가서 상대방을 바라보면 나를 향해 마음의 문을 여는 것이다. 그때야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무리 미워도 다가가서 들어라. 내가 말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얘기를 그냥 들어라. 그러다보면 애들도 마음 문을 엄마 아빠한테 연다. 이렇게 하면 99%는 바뀐다.

그리고 반드시 마음 속으로 기도를 해야 한다. 뜨거운 사랑의 기도의 말일 때 상대방은 완전히 녹아질 수 있다.

인생은 알지 못하는 운전수에 의해 끌려가는 자동차와 같다. 이 운전수를 인간의'자아상'이라고 한다.

실패, 불행의 운전수가 말이라면 좋은 말, 아름다운 말로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100% 바꿀 수 있다. 내가 그렇게 바뀐 사람이다.

운전수를 바꾼다는 것을 학문적인 말로는 자아상이 달라진다고 한다. 자긍심, 자존감이 살아났다는 말이다.

그러면 그때부터 매력이 풍긴다. 멋있는 삶, 신바람 난 삶, 건강한 삶이 여러분 앞에 보장돼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