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아디라(Thyatira) 성지선교회 원제연
©원조수아 선교사 제공

1. 두아디라의 역사

두아디라 지역은 처음에는 농업과 목축업에 종사하던 순박한 농부들과 목동들이 터를 잡고 생활을 하던 한적하던 시골 마을이었는데, 후에 유대인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활발한 상업과 무역의 도시로 변모했습니다.

후에 알렉산더 대왕의 부하 장수였으며, 그의 사후 거대한 헬라제국의 시리아 지역 왕이 된 셀레우코스 1세(Seleucos Nicator Ⅰ)에 의해서, BC. 300년경에 점령되었습니다. 셀레우코스 1세(Seleucos Nicator Ⅰ)는 '두아'라는 딸의 이름과 '성읍'이란 뜻의 '테리아'를 합성하여 '두아테리아'즉 "두아(Thya)의 성읍"이라고 불렀습니다.

셀레우코스 1세가 이 지역을 점령할 당시만 해도 농업과 목축업에 종사하던 소수의 사람들이 살고있던 작은 마을이었습니다. 하지만 셀레우코스 1세는 통치 초기에 이곳을 군사 도시로 발전시키기를 원했고, 그래서 이곳에 많은 군대를 주둔시켰습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도시로 발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깨달은 그는 이곳에 주민 이주 프로젝트을 세워서 많은 디아스포라 유대인들과 마케도니아인들을 이곳에 이주시켰습니다.

나중에는 페르가몬(Pergamon, 버가모) 왕국의 속주가 되고, 페르가몬의 왕 앗탈레스 3세가 BC. 133년 자신의 왕국을 로마에 무혈양도함으로써 두아디라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습니다. 로마 군대는 두아디라를 소아시아 주의 수도였던 페르가몬을 보호하기 위해 이곳을 완충 지역으로 활용했습니다.

로마 군대가 이곳을 중간기지로 삼은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버가모를 정복하려는 침략자들은 우선 두아디라를 1차 공격 대상으로 정했습니다. 왜냐하면 고대 도시들은 대부분 높은 언덕 위에 세워졌지만, 두아디라는 평원에 있는 도시이기 때문에 천연적인 요새를 갖고 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로마 군대는 적들의 1차적인 공격대상인 두아디라를 수호함으로서 본래 공격 대상인 버가모로 들어오는 길목을 차단하려는 목적으로 이곳에 수비대를 강하게 구축하였던 것입니다.

2. 두아디라의 특징

(1) 군사적으로 방어에 불리한 지형에 건설

고대 도시는 대부분 높은 언덕 위에 세워지는 것이 보통이었습니다. 그러나 두아디라는 평야 지역에 위치하는 지역이라 천연적인 요새를 갖고 있지 못했습니다. 이것은 두아디라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데, 방어를 위한 지형적인 도움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버가모를 정복하려는 침략자들은 먼저 두아디라를 공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2) 자주색 옷감 염색 기술이 발달

사도 바울이 빌립보에서 복음을 전할 때 두아디라 성에서 온 자주색 옷감 장사인 루디아란 여자가 복음을 듣게 되었습니다(행16:14). 빌립보까지 판매망을 두면서 장사한 것을 보면 두아디라의 자주색 옷감을 염색하는 기술은 뛰어났던 것 같습니다. 루아디란 이름은 두아디라가 속한 리디아(Lydia) 지역 이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리디아는 BC 12세기 경 아나톨리아 반도 서부 지역에 최초의 통일 왕조였던 '힛타이트 제국'의 멸망 후에 발흥했던 왕국이었는데, 그 이름으로 두아디라 주에 작게 남아있는 지명이었습니다.(리디아 : 필자가 전에 기고한 '사데' 관련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자주색을 내는 원료는 두 가지인데, 지중해 연안에서 많이 잡히는 소라나 조개에서 원료를 채취하는 것이 그 하나입니다. 이렇게 얻어진 자주색 염료는 고가이고 한번 물든 자주색은 퇴색이 잘 안되어 그 값이 비쌌는데, 자연히 자주색은 고대 세계에서 부와 권력을 상징하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바다가 없는 두아디라에서 생산된 자주색 옷감은 '꼭두서니'라는 식물의 뿌리에서 원료를 채취했습니다. 이 나무 뿌리를 물 속에 오래 담가두면 자주색 물이 우러나는데, 그 물에 실이나 천을 넣어 물을 들였습니다. 빌립보에서 복음을 받아들인 루디아는 빌립보 근처의 해변에서 소라나 고동을 구하여 자주색 원료를 채집하여 고급 옷감을 만들었던 것 같습니다.

(3) 상인들의 계조직(길드) 성행

당시 이 도시에는 자주색 옷감을 염색하는 일 외에도 주석(구리)으로 로마 군인들의 철모를 만드는 산업이 번성했다. 면직, 모직, 빵 제조업, 노예 매매, 질그릇 등 수공업도 발달하였습니다.

두아디라는 정치적인 도시가 아니라 산업도시였습니다. 각 업종들은 조합원들로 구성된 결속력이 강한 조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조직들은 도시의 정치, 경제, 사회, 종교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행사했기 때문에 시민으로서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누구든지 필수적으로 계조직의 회원이 되어야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사데, 골로새, 라오디게아, 히에라볼리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계조직들 중에 가장 단결력이 강한 조합은 섬유조합으로서 대부분 유대인들이 이에 속하였습니다.

(4) 트림나스 신전 제사

이곳에는 페르가몬처럼 많은 신전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도시를 수호하는 트림나스(Trymnas) 신이 태양신 아폴로와 동일시되어 숭배되었답니다. 트림나스 신상은 좌우에 도끼로 무장한 전사를 조각한 것이었습니다.

두아디라에서 성행하였던 각 계조합(Guild)은 트림나스 신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조합원들은 트림나스 신전의 후원조직으로 계돈의 일부를 신전에 바쳤고, 또 곗날이 되면 그들은 트림나스 신전에 모여 제사를 드렸습니다. 우상에게 바친 고기를 먹고 술을 마시면서 제사 분위기가 고조되면, 마무리로 신전에서 일하는 여제들과 음행을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당시 두아디라 교인들 중에는 자신의 생활기반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이교의 제사와 거기에 수반되는 부도덕한 관습을 따라 행하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두아디라(Thyatira) 성지선교회 원제연
©원조수아 선교사 제공

3. 두아디라 교회사

현재 두아디라에는 AD 600년 경에 세워진 두아디라 기념교회로 세워진 요한기념교회의 석축 기둥과 담장만이 초라하게 남아 있는데, 비잔틴 제국 시에는 아시아 일곱 교회 중의 하나가 위치하여 크게 번성했었으며 1425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두아디라 교회가 어떻게 설립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바울이 에베소에 머물 때 전도되었거나 빌립보의 루디아가 이곳으로 복음을 전달하여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왜냐하면 그녀는 요즘 같으면 영향력 있는 여성 사업가로서 모르긴 몰라도 두아디라에 본사를 두고 그 멀리 빌립보까지 가서 장사를 하였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AD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나, 431년 에베소 종교회의에 두아디라 교회의 대표가 참석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4. 성서의 교훈

"네게 책망할 일이 있노라 자칭 선지자라 하는 이 여자 이세벨을 네가 용납함이니 그가 내 종들을 가르쳐 꾀어 행음하게 하고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는도다"(계시록 2:20)

그 당시 두아디라 사람들이 살아가려면 동업조합에 가입해야만 했고, 그러면 트림나스 신전에 가서 우상제물을 먹고 음행에 가담해야만 했습니다. 이런 상황 가운데 살아가고 있는 두아디라 교회 성도들은 참으로 풀기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었을 것입니다. 먹고 살자니 조합에 가입해서 죄를 지어야 하고, 죄를 짓지 아니하자니 먹고 살기가 힘들고··· 그래서 많은 성도들이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갈등하고 있었습니다. 마치 우리 나라 성도들이 주일성수와 술 문제 등으로 기독교인으로서 사회생활 하기 힘들다고 호소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이럴 때 사람들은 수를 찾게 됩니다. "무슨 좋은 수가 없나?", "신앙도 지키면서 장사도 잘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 이런 비법을 찾고 있을 때 해결사로 나타난 사람이 바로 자칭 선지자라 하는 여자 이세벨이었습니다. 이 사람이 누구인지, 본명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세벨'은 원래 옛날 이스라엘 아합 왕의 아내였습니다. 그는 원래 시돈 왕의 딸로서 아합 왕에게 시집 와서 여호와의 선지자들을 죽이고 바알 숭배를 크게 퍼뜨린 자였습니다(왕상 16:30-33, 왕하 9:30-37). 그래서 '이세벨'은 우상 숭배를 퍼뜨리며 이스라엘이 타락하게 하여 결국에는 멸망에 이르게 한 사악한 여자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두아디라에 있던 거짓 선지자 이세벨도 이처럼 성도들을 꾀어서 우상을 섬기게 하고 죄를 짓게 하였습니다.

아마 이 여자 이세벨은 영지주의에 속하는 이단이었던 것 같습니다. 영지주의란 영혼과 물질의 이원론을 주장하는 가르침으로 그 당시 소아시아 일대와 지중해 연안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던 사상이었습니다. 이 영지주의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었는데, 하나는 육체는 악하다 하여 금욕하고 절제하는 고행주의 계통이고, 다른 하나는 육체는 원래부터 악하니 어쩔 수 없고 영혼만 깨끗하면 된다고 가르치는 반(反)율법주의 계통이었습니다.

아마 이 이세벨은 이 두 번째의 것으로 영혼과 육체는 서로 관계가 없기 때문에 몸으로 무슨 죄를 짓든 영혼의 구원에는 상관없다고 가르쳤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이러한 이세벨의 가르침에 두아디라 교회의 많은 성도들이 미혹되었습니다. "그럼 그렇지, 구원이란 영혼의 문제인데 부득불 육체를 좀 더럽혔다고 해서 구원에야 지장이 있겠나? 게다가 처자식을 먹여 살리려니까 할 수 없이 세상과 좀 타협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 이렇게 스스로 반문하며 위로하였을 것입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크리스찬들에게도 두아디라 교인들과 동일한 유혹과 시험이 찾아옵니다. 우리도 두아디라 교인들과 같은 그 시험대 앞에 반드시 서게 될 것입니다.

'이거 하나 쯤이야, 나 하나 쯤이야...' 하는 마음이 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를 내 주게되면 둘을 내주게 되고, 둘을 내 주게되면 넷을 내줘야 합니다. 호미로 충분히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성지선교회 제공

이메일 : director@godsland.or.kr

페이스북 : facebook.com/godslandorkr

홈페이지 : godsland.or.kr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성지선교회 #터키 #두아디라 #생생성지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