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는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도곡로2길 개혁신학연구소에서 가진 '생명운동을 위한 예배 및 강연'을 가졌다. 사진은 강연하는 김일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기독일보 윤근일 기자]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는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도곡로2길 개혁신학연구소에서 가진 '생명운동을 위한 예배 및 강연'을 가졌다. 이날 참석자들은 부활절 이후 가진 모임인 만큼 "부활절 주님이 원하시는 귀한 뜻을 드러내게 하옵소서"라며 "부활의 소망 가지고 이 땅의 사역 잘 감당하게 하소서"라고 기도했다.

이날 강연에서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일수 명예교수는 '생명윤리 왜?-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제목의 공개강연을 통해 "생명에 있어 불법의 세계가 법의 세계로 정당성을 가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주권자는 하나님이시니 기독교적 가치 아래 생물학적 의학적 생명이 아닌 영원한 생명에 관한 꿈과 전망을 가지고 생명을 위에서부터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감당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그는 "이를 통해 위험한 과학기술 발달 공리주의 생명가치를 상대화 시키는 철학적인 가치관에 대해 우리가 맞설 수 있다"고 했다.

더불어 김 명예교수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은 중심적인 의식세계 중 유물론과 실존주의 이성주의, 합리주의 같은 사상의 여러 형태들로 말미암아 우리의 근본을 잊도록 하는 등 생명윤리가 도전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김 명예교수는 "고귀한 생명이 인간실존의 토대가 되기 때문에 인간생명은 최대한으로 보호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윤리적 요청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하나님께서 인간의 영원한 생명과 현실에서 누리는 생명까지도 보존하시기 위해서 여러 가지 보존 장치들을 만들어 놓으셨고, 보존하도록 명령하신 기록들을 성경을 통해서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특히 김 명예교수는 이러한 도전들이 '인공수정'으로 대표되는 유전공학의 발달로 생명의 시작단계에서부터 도전받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인공수정에 대해 "불임 부부의 비극적인 상황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휴머니즘적 요소가 있는 것"이라며 다만 독신 여성과 동성애자들이 아이를 가지고 싶을 때 대리모, 타인의 정자 등을 통해 자녀를 가지는 경우를 문제로 들었다. 그러면서 김 명예교수는 "극단적인 경우에는 어머니의 개념문제, 출산, 수정아의 법적 고아상태 등 이런 문제들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기형아가 생겼을 때는 인술을 거부함으로 인해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에 대한 안타까운 문제도 있다"면서 "시험관 아기문제도 마찬가지인데 체외수정에 대한 출산은 생명의 신성성, 가족관 등에 혼란을 초래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또한 인간복제에 대해서도 "인간이 도구화 되고 기계화, 대상화 되는 위험을 가지게 된다"며 "아인슈타인의 지성, 말의 힘을 지닌 마력을 지닌 인력, 클레오파트라의 미모를 가진 사람을 만드는, 생산해 내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면 인간을 물질화 상품화하는 문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는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도곡로2길 개혁신학연구소에서 가진 '생명운동을 위한 예배 및 강연'을 가졌다. 사진은 김일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가 '생명윤리 왜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제목으로 공개강연을 하고 있다.   ©윤근일 기자

김 명예교수는 생명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죽음에 대해서도 여러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장기 확보하기 위해서는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해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 "'뇌사는 기계장치에 의한 것이지만 호흡도 계속되고 손톱도 자라고 피도 돌아가는데 대뇌 소뇌 불가소실로 되니 죽은자로 취급하자. 그리고 그 장기를 가지고 죽어가는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게 된다면 얼마나 공리적으로 유용한 것인가'라는 것 때문에 뇌사설이 등장하였고 법적으로도 널리 영역을 넓혀서 우리나라도 뇌사를 사망으로 간주하도록 하고 있다"며 "생명의 가치라는 것이 비교교량의 대상이 되고 정당화가 되어지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그러면서 김 명예교수는 '생명과 생명을 비교해서 죽이는 일은 정당화 될 수 없다'는 형법 조문을 들어 뇌사와 안락사, 존엄사 등이 법의 세계를 통해 정당성을 가지는 현실을 지적했다.

김 명예교수는 "인간이 생명을 존엄하다고 하는 가치에 대해서는 하나님의 동일한 형상으로 지음받았고 자녀라는 것이며 생명의 주권은 우리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있는 것"이라며 "보편적 원리로 타당할 수 있도록 하라고 자율성을 강조했지만, 사르트르- 인간이 처분할 수 있는 자유가 되어 하나의 풍조가 되고 기독교적인 생명관, 보존의 장치들은 좁아지게 되는 현상으로 가게 되고 있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한 "하나님이 없다고 한다면 또 하나님께서 주신 영원한 생명에 관한 전망이 없다고 한다면 아마 인간의 생명이란 것은 거의 수단화 되고 귀한 것들과 교환할 수 있는 단계에 까지 이를 것"으로 우려하고 "생명보호의 견고한 진이 허물어지지 않도록 경각심을 가지고 맞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생명윤리협회가 기독교적 관점에서 의학적 생명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에 대한 전망을 가지고 생명을 위에서부터 이끌어가는 역할을 감당해 가야만 파도가 높은 이 시대의 위험한 과학기술 발달, 공리주의, 생명가치를 반하는 가치관에 맞설 수 있을 것"이라며 강연을 마쳤다.

한편 강연에 앞서 열린 예배에서 보건학 박사이기도 한 김주형 목사는 '생명의 장수와 근원'이라는 설교를 통해 "성경을 들으면 영혼과 마음이 변한다. 우리가 말씀을 듣지 않거나 들어도 하나님 말씀을 듣지 않기에 다른 것에서 힐링을 찾기에 변화가 되지 않은 것"이라고 말하고, 예수의 말씀, 명령을 듣고 믿음을 통해서 살아난 나사로와 나음을 받은 중풍병자를 예로 들어 "성경에 기록된 말씀을 우리가 들을 때 회복이 된다"고 전했다.

참석자들 또한 이날 예배 후 가진 기도에서 ▲나라와 민족 ▲교계와 교회를 ▲생명윤리 사역 단체와 사역자를 위해 기도했다. 특히 생명윤리 사역과 사역자를 기도할 때 이들은 ▲생명윤리협회가 이 사회에 올바른 대안을 제시하는 하나님이 쓰시는 단체 되도록 ▲4월 11일의 낙태반대운동연합 생명대행진의 진행과 5월 11일의 성산생명윤리연구소 홈커밍데이 등을 두고 기도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